논문 상세보기

Drought assessment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precipitation deficit: focused on Han river basin KCI 등재

표준강수지수와 강수 부족량을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7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가뭄심도와 부족 강수량을 대상으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족강 수량은 표준강수지수의 가뭄기준인 -1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가뭄지수의 심도와 지속기간 이용한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두 변량은 선형적인 관계가 매우 높아 각 변량에 대한 단변량 빈도해석과 비교하여 정보의 확장성은 크지 않다. 2015년 가뭄의 경우, 서울, 양평, 충주지점의 ‘가뭄심도-부족 강수량’량의 재현기간은 모두 300년 이상의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뭄심도-지속기간’에서는 재현기간을 약 10년, 50년, 50년으로 평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우기를 포함한 가뭄은 강수량 부족이 심각할지라도 가뭄심도는 가뭄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할 수 있어 실제 가뭄의 심각성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가뭄심도-부족 강수량’ 빈도해석 결과는 강수량의 절대적인 부족량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어,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drought severity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drought magnitude and precipitation deficit. A drought event was defined b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recipitation deficit was estimated using reference precipitation corresponding to the SPI -1. In previous studies, drought magnitude and duration were used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However, since these two variables have a largely linear relationship, extensibility of drought information is not great compared to the univariate frequency analysis for each variable. In the case of drought in 2015, return periods of ‘drought magnitude-precipitation deficit’ in the Seoul, Yangpyeong, and Chungju indicated severe drought over 300 years. However, the result of ‘drought magnitude-du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valuating the return period of about 10, 50, and 50 years. Although a drought including the rainy season was seriously lacking in precipitation, drought magnitude did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severity of the absolute lack of precipitation. This showed that there is a limit to expressing the actual severity of drough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for ‘drought magnitudeprecipitation deficit’ include the absolute deficit of precipitation information, so which could consider being a useful indicator to cope with drought.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SPI 및 부족 강수량 산정
  2.2 Copula 함수를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3. 연구 결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Kwon Minsung(Urban Risk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okyeong University) | 권민성
  • Sung Jang Hyun(Ministry of Environment,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 성장현
  • Kim Tae-Woong(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ERICA)) | 김태웅
  • Ahn Jaehyun(Department of Civil & Architectur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안재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