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wo-dimensional unsteady flow analysis with a five region turbulence models for a simple pipeline system KCI 등재

단순한 관망체계에서 5영역 난류 모형을 이용한 2차원 부정류 흐름 해석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7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관망의 해석은 관망의 설치,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1차원 모형과 3차원 모형이 있으나 각각은 정확도와 계산속도의 면에서 관망 해석에 장점과 한계점을 보인다. 2차원 모형의 경우 1차원 모형과 달리 난류 점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마찰을 모의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난류 점성을 모의하는 모형은 Five-Region Turbulence Model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모형에 사용되는 매개 변수들은 실험에 의한 값이기 때문에 이러한 매개변수에 따른 2차원 부정류 해석 방법의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실제 상수관망에서의 수격압 데이터와 부정류 해석 모형으로 부터의 수격압 데이터를 비교하고,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른 속도 분포 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서, 난류 해석 모형의 마찰 거동과 매개변수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An accurate analysis of pipeline transient is important for prope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water distribution systems. The computational accuracy and its cost are two distinct components for unsteady flow analysis model, which can be strength and weakness of three-dimensional model and one-dimensional model,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used two-dimensional unsteady flow model with Five-Region Turbulence model (FRTM)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teraction between liquid and air Since FRTM has an empirical component to be determined, we explored the response feature of two-dimensional flow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friction behaviour and the variation of undetermined parameter was configur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2차원 모형
  2.1 모형의 지배방정식
  2.2 난류 모형
 3. 난류 모형 변수에 따른 2차원 모형의 수치 모형결과 비교
  3.1 실험관망의 구성
  3.2 2차원 모형과 1차원 모형의 해석 결과 비교
  3.3 난류 모형 매개 변수에 따른 2차원 모형의 수치연산결과의 비교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Kim Hyun Ju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현준
  • Kim Sangh Hyu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상현 Corresponding Author
  • Baek Da Wo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백다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