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악기 음성분지 남서부의 구곡리-농다리 퇴적층과 퇴적환경 KCI 등재

Gugokri-Nongdari Sedimentary Succession and Environment in the Southwestern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9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백악기 음성분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공주 주향이동 단층대를 따라 생성된 인리형 분지이다. 분지 남서부의 구곡리 농다리-미르 숲에는 두꺼운 자색 이암 퇴적층이 분포하며, 역암, 역질 사암, 녹색 이암 등이 자색 이암층에 협재한다. 퇴적층은 7개의 퇴적상으로 구성된다: 층리를 보이는 역암(C2), 실트암 내 역암(CE), 실트암 내 층리를 보이는 역질 사암(PSE2), 자색 사질 실트암(Zp), 녹색 사질 실트암(Zg), 자색 이암(Mp), 녹색 이암(Mg). 퇴적환경은 분지 남서부에서 발달하였던 충적-호소 퇴적계에서 충적 평원이 우세한 환경으로 해석된다. 구곡리 퇴적계의 퇴적층을 1:5000 축척 지형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도로 지질도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 숲의 새로운 노두에서 측정한 고수류 방향 자료와 퇴적층의 특징에 근거하여, 동북동과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한 하천 퇴적계를 새로이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구곡리 퇴적계의 모델을 개선하였다.

The Cretaceous Eumsung (Eumseong) Basin is a pull-apart basin, formed along a series of the Gongju strikeslip faults trending NE-SW. The Nongdari-Meer forest of the Gugokri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sin is comprised of thick purple mudstone, intercalating conglomerate, pebbly sandstone, and green mudstone beds. The succession mainly consists of seven sedimentary facies: stratified conglomerate (C2), conglomerate encased in siltstone (CE), stratified pebbly sandstone encased in siltstone (PSE2), purple sandy siltstone (Zp), green sandy siltstone (Zg), purple mudstone (Mp), and green mudstone (Mg). Sedimentary environment is mainly indicative of alluvial-plain setting in an alluvial-to-lacustrine sedimentary system, develop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sin. Geological survey was fulfilled in succession of the Gugokri sedimentary system using 1:5000 topographic map, which resulted in a geological route map. This study newly suggested that there be fluvial systems showing ENE and NNE trends in the study area, based on data of palaeocurrent direction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new outcrops of the forest. The study also revised the precedent sedimentation model of the Gugokri system.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중생대 백악기 음성분지
  분지의 형성과 퇴적층
  퇴적층의 분지 충전
 구곡리 퇴적계
  퇴적층
  퇴적환경
 토 의
 결론 및 제안
 References
저자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Woo-Hun Ry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