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배제와 따뜻한 향 선호 KCI 등재

Social Exclusion and Preference for Odors Perceived to be Emotionally Wa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든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사회적 배제가 감성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들고, 감성적 차가움을 회피하게 만들 것이라는 예측을 향 감성을 사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차가운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과 따뜻한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과 통제 집단의 향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따뜻한 향에 대한 선호가 강한 반면, 차가운 향에 대한 선호는 약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드는 현상을 감성적 차원으로 확장했다는 측면과 선행연구에서 간과해 왔던 차가움을 회피하게 하는 현상까지 관찰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컴포트 푸드, 인물 감성, 공간 감성 디자인, 인공지능 채팅봇의 감성 등에도 실용적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was based on previous ones that demonstrate how social exclusion leads to a desire for physical warmth.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odor-induced emotions to predict social exclusion, leading to a pursuit of emotional warmth and avoidance of emotional distance.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study sought to select odors perceived to be emotionally warm and emotionally distant, after which two experiments verified differences in odor preference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warm odors and a weaker preference for cold odors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t been socially ostracized. This study has theoretical value in terms of expanding the social exclusion-induced desire for physical warmth into the emotional dimension as well as examining the avoidance of emotional coldness, which had been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This also leads to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fort foods, character emotions, emotional-space design, and emotions for artificial-intelligence chatbot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이론적 배경과 연구문제
  1.2. 연구목적과 중요성
  1.3. 연구방법 개관
 2. 사전조사: 향 감성 조작 확인
  2.1. 참가자
  2.2. 재료
  2.3. 절차
  2.4. 결과
 3. 실험 1
  3.1. 설계 및 참가자
  3.2. 재료 및 절차
 4. 실험 2
  4.1. 설계 및 참가자
  4.2. 재료 및 절차
  4.3. 결과
 5. 종합논의
  5.1. 이론적 시사점
  5.2. 실용적 시사점
  5.3. 한계와 향후 연구제안
  5.4.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국희(경기대학교 교양학부) | Guk-Hee Lee (Division of General Studies, Kyongg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