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갯벌의 수직적 환경 특성 KCI 등재

The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6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과학회지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한국환경과학회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초록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환경적 특성이 다른 3지점 갯벌을 채취하여 수직적인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갯벌의 입도특성을 보면, 금강하구에 위치한 어은리 갯벌의 니질 함량이 98.89%를 보인 반면 충남 서천에 위치한 춘장대갯벌은 모래함량 97.99%를 나타내었다. 새만금지구 내 위치한 계화도 갯벌은 니질 32.81%, 사질 67.19%로 나타나났다.
갯벌의 화학적인 특성은 니질 함량이 높은 어은리 갯벌에서 유기물 관련인자(IL, COD, POC)가 다른 두 갯벌 보다 3∼4배 높았으며, 각 지점에서 층별 농도 분포는 아래로 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중 갯벌의 유기오염물질과 관련 있는 인자인 I.L., COD 및 POC, PON 사이에는 0.821∼0.940의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pH는 COD, PON 및 POC와 0.9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갯벌의 층별 투수실험 결과 춘장대 갯벌은 평균 투수 계수가 0.01584㎝/s로서 투수량이 18.66ml/min이었다. 하지만 어은리 및 계화도 갯벌은 거의 투수되지 않았다.

As one of the fundamental survey to evaluat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at the tidal flat sediments, we studied vert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ree tidal flat sediments, Chunjangdae, Eueunri and Gyewhado. These are dissimilar to external feature in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ed;
As the results of particle analysis, Eueunri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Keum river estuary consists of 98.98% as silt & clay,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eocheonGun consists of 97.99% as sand. And Gyewhado tidal flat sediment located in Saemankeum area consists of 32.81% as silt& clay and 67.19% as s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I.L., COD, POC, PON) in Eueunri tidal flat sediment which highly content of silt & clay were 3∼4 times higher than others.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pollutants at each layer were slightly increase goes with deepen layer.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I.L. and COD, POC, PON were obtaine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range of 0.821∼0.940.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D, POC, PON were high(>r=0.9).
Filteration rate in Chunjangdae tidal flat sediment was 0.01584㎝/s as mean value, but the other were almost nothing filtered off.

저자
  • 김종구(군산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Jong Gu Kim
  • 유선재(군산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Sun Jae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