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수실험에 의한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to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by Column Test with the tidal flat sedi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6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과학회지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한국환경과학회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초록

충남 서천군 춘장대에서 채취한 갯벌을 통수칼럼에넣고 오염물질 정화능력을 평가 해 보았다. 각 칼럼에 사용된 시료수는 하수를 G2여과지(6㎛)로 여과한 여액(R1), 생하수를 GF/C여과지(1.2㎛)로 여과 후 하수중의 미생물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압멸균기(autoclaver)로 120℃에서 15분간 멸균한 하수( R2), 여과·멸균된 하수를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해수와 1:1(하수:해수)로 혼합한 시료수(R3) 그리고 R3에서 사용된 하수와 해수를 이용해 그 비를 1:2로 혼합한 시료수(R4)를 이용하였다. 4종류로 조제된 시험수를 이용한 통수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수실험에 의해 제거된 COD 양은 시료수에 하수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암모니아질소의 경우 각 칼럼에서 580분 실험한 후 총 누적 제거양은 R1 90.1㎎, R2 81.0㎎, R3 27.6㎎, R4 4.1㎎이었다. R1과 R2에서 총 누적 제거 양이 해수가 1:1로 함유된 R3보다는 약 3배 높았고, 생하수와 해수가 1:2로 함유된 R4보다는 약 20배 높아 시료수에 하수의 함량이 높을수록 COD와 마찬가지로 암모니아질소가 잘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인의 경우 각 칼럼에서 580분 실험한 수 제거된 총 누적 양은 R1 3.4㎎, R2 4.2㎎, R3 5.6㎎, R4 2.0㎎이었다.
평균 유입수 농도와 평균 유출수 농도로 구한 Pb의 평균 제거율은 R3와 R4에서 94.6%와 94.9%로 R1과 R2에서의 66.5%와 77.0%보다 약간 높았고, Cd의 평균 제거율도 R3와 R4에서 93.1%와 88.5%로 R1과 R2에서의 61.2%와 82.7%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과 같이 칼럼실험에서 중금속은 해수가 첨가된 시료에서 제거율이 높았다. 하지만 초기 20분간 흡착된 중금속의 양은 580분 동안 흡착된 총 양의 3∼4%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by column test with the tidal flat sediment. Sediment materials were taken from Chunjangdae tidal flat which located in Chungnam Seochungun. The column tests were conducted on four conditions(R1 : raw sewage filtered by G2 filter. R2 : sterilized sewage after filtered by GF/C filter, R3 : R2 /filtered(membrane) seawater (1:1). R4 : R2 /filtered(membrane) seawater(1:2)).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ed;
The removed COD by column tes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he quantity of sewage. During the column tests of 580min, the total removed ammonia nitrogen were 90.1㎎ for R1, 81.0㎎ for R2, 27.6㎎ for R3 and 4.1㎎ for R4. The result was similar to COD experiment. During the 580min, the total removed total-phosphates were 3.4㎎ for Rl, 4.2㎎ for R2, 5.6㎎ for R3 and 2.0㎎ for R4.
The removal efficiency of Pb and Cd for R3 and R4 reactor were higher than R1 and R2 reactor. The remove of heavy metal by the column test was high in sample with seawater. But in the initial 20min, the adsorbed Pb and Cd showed about 3% of the total adsorbed Pb and Cd during 580min.

저자
  • 유선재(군산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Sun Jae You
  • 김종구(군산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Jong Gu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