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교사의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과학 교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KCI 등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9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 여 이해하는 것이다. 4명의 초등 교사가 참여했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질문은 Seidman(1998)과 Schuman(1982)이 제시한 면담법을 재구성하였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중에 시스템 사고를 증진시키는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고, 학생 중심의 물리적, 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예시 자료의 부족과 수업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또한, 평가 도구와 측정 방법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 내용과 과정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탐구 활동 능력 부족으로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수업의 방향을 찾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는 데에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aught the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inquiry class.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applied to analyze four elementary teachers’ meaningful experiences. The four step methods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 research proposed by Giorgi (1985) and interview questions developed by Seidman (1998) and Schuman (1982) were used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tentionally tried to ask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which promoted the system thinking in classes. The teachers used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to promote their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and to induce students’ system thinking. In addition, the receptive mood created by teachers and interactive environ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system thinking skills. Second, teachers remarked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mes of their classes in order to teach the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inquiry class effectively. In addition, it was very difficult for teachers to evaluate the contents and processes of students’ learning correctly because there were little evaluative tools and methods readily availabl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maximizing the effects of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inquiry instruction due to elementary students’ inappropriate process skills of inquiry activities.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insights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the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clas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연구 결과
  STSIC에서 교사의 역할
  STSIC에서 겪는 어려움
  STSIC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
 요약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형욱(하주초등학교) | Hyunguk Kim (Haju Elementary School)
  • 이효녕(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Hyonyong L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