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해 중동부 해역 YSDP-105 심부코어 지점의 지음향 모델 KCI 등재

Geoacoustic Model at the YSDP-105 Long-core Site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9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황해 중동부에서 후기 플라이스토세-홀로세 동안 빙하기원 전 지구적 해수면 변동과 지역적인 지구조 침강은 퇴적 단위층의 중첩된 매적 양상으로 나타났다. 중첩 퇴적층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단면과 YSDP-105 시추코어에서 A형과 B형의 두가지 유형의 단위층으로 구분된다. A형 단위층은 주로 역이 풍부한 조립질 육성 및 인접 천해성 퇴적물인 반면, B형 단위층은 조석의 영향을 받은 세립질 퇴적물로 대부분 구성된다. 퇴적 단위층의 지층 모델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황해 중동부 해역에 위치한 YSDP-105 시추 지점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모델을 제시하였다. 수심 45 m의 대륙붕 지층에서 4개 지음향 단위층으로 구성된 64-m 심도의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지음향 특성값은 Hamilton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하부 현장 심도의 특성값으로 보정하였다. 이 지음향 모델은 황해 중동부 해역에서 심부 지층의 지음향 특성을 반영하는 중-저주파수 지음향 및 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glacio-eustatic sea-level fluctuations and a regional tectonic subsidence have combined to represent an aggradational stacking pattern of sedimentary units during late Pleistocene-Holocene. The accumulated sediments are divisible into two-type units of Type-A and Type-B in high-resolution air-gun seismic profiles and the deep-drilled core of YSDP-105. Type-A unit largely comprises clast-rich coarse-grained sediments of non-marine to paralic origin, whereas Type-B unit consists mostly of tidal fine-grained sediments. Based on a bottom model of the sedimentary units, this study suggested a geoacoustic model of long-coring bottom layers at the YSDP-105 drilling site of the mid-eastern Yellow Sea. The geoacoustic model of 64-m depth below the seafloor with four-layer geoacoustic units was reconstructed in continental shelf strata at 45 m in water depth. For actual modeling, the geoacoustic property values of the models were compensated to in situ depth values below the seafloor using the Hamilton modeling method. We suggest that the geoacoustic model will be used for geoacoustic and underwater acoustic experiments of mid- and lowfrequency reflecting on the deep bottom layers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자료 및 방법
 연구 지역과 해양 지질
 결 과
  탄성파 자료
  코어 퇴적층
  지음향 자료
  지층 모델
  지음향 모델
 토 의
 결 론
 References
저자
  • 양우현(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Woo-Hun Ry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진재화(한국지질자원연구원) | Jae-Hwa Ji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한주영(국방과학연구소) | Jooyoung Hahn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