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화문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석재공급지 추정 KCI 등재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Gwanghwamu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광화문 월대로 사용된 석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활용한 석재공급지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월대는 2010년에 일부 구간이 다시 복원된 것으로 원부재인 담홍색 화강암과 신석재인 회백색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해 북한산과 수락산의 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채취한 시료는 모두 담홍색 화강암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전암대자율은 북한산에 비해 수락산의 값이 크고 암석의 색에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수락산이 상대적으로 선명한 담홍색을 띤다. 수락산은 월대에 사용된 원부재와 비슷한 암석기재적 특징, 전암대자율, 역사적 사료 그리고 야외조사 시 발견된 채석흔적 등을 통해 최종 복원용 석재공급지로 판단된다. 물성시험 결과, 월대 원부재는 풍 화로 인해 147 MPa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이며 석재공급지로 생각되는 수락산은 244 MPa 높은 값을 보여 안정성까지 확보되어 양질의 석재로 사용 가능하다. 수락산 일대는 주거지역이 일부 포함 되어 있어 행정적인 문제, 자연파괴, 인근 주민 생활권 침해가 발생하여 채석활동은 어렵다. 또 다른 대안으로 QAP조성, 광물조직, 암색 등의 암석학적특징 및 물리적 특성까지 유사한 중-조립질 담홍색화강암의 포천 창수석과 영중석을 제안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Kwanghwamun gate to estimate their provenances. The Woldae was partly reconstructed in 2010 using red-colored original stone and greyish new stone. We carried out geological survey in Mt. Bukhan (Bukhansan) and Mt. Surak (Suraksan) to estimate the source of stone, where red-colored granitic rocks are widely distributed. Though the petrographical features of the granitic rocks from the surveyed area are quite similar, there exists a slight varia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color index of the rocks: the granitic rocks from Mt. Surak have higher value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clearer reddish feature. A series of evidence, such as historical records, stone cutting traces and petrographical features, for the source of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tells that Mt. Surak would have been the provenance for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We also conducted a nondestructive test to examine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rocks. The original stone shows low compressive strength (147 MPa) due to the weathering, whereas the rock in Mt. Surak has higher compressive strength (244 MPa) capable of being used as building materials. If there were any difficulties to use the granitic rocks in Mt. Surak, some granitic rocks that have similar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hangsu stone and Yeongjung stone from the Pocheon area, could be used as building material instead.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방법
 지질배경
 월대 부재 암석기재적 특징
 주변 산지 암석기재적 특징
  BH01 (Mt. Bukhan, N37 37.590 E127 00.548)
  SL01 (Mt. Surak), N37 40.114 E127 04.179)
  SL02 (Mt. Surak, N37 40.237 E127 04.230)
 비파괴분석 및 물성시험
  전암대자율
  초음파속도
  슈미트해머 반발경도
 토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성철(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Sung Chul Park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박상구(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Sang Gu Park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성태(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Sung Tae Kim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재환(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Jae Hwan Ki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좌용주(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Yong-Joo Jwa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