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의 담수 방류와 표층 수온 및 염분 반응 : 계류형 센서 연속관측 결과 KCI 등재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Mooring Observ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0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낙동강 하구에서 연속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담수의 방류와 수온 및 염분의 시간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였다. 낙동강 하구 서쪽 해역에 계류형 센서를 설치하고 2017년 4월 1일부터 2018년 3월 31일까지 10분 간격으로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였다. 담수의 방류량은 평상시에 200 m3 s-1 d-1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풍수기에는 500 ~ 1000 m3 s-1 d-1 이상의 많은 양의 담수가 빈번하게 방류되었다. 담수의 방류는 대조기에는 간조를 전후하여 발생하였고, 소조기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일어났다. 평상시에 수온과 염분은 소조기 동안 큰 변동 없이 안정 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대조기에는 방류주기에 따라 규칙적인 변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기간 동안 염분은 평균 29이었으며, 평상시에 염분 농도는 평균 이상으로 유지되었고 일시적인 감소 이후에도 빠르게 회복되었다. 풍수기에는 약 3개월 동안 평균 이하의 저염환경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담수의 방류량뿐만 아니라 방류의 지속시간과 대량 방류의 빈도가 낙동강 하구의 표층 수온과 염분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Mooring observ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shwater discharge patterns on the mouth of Nakdong River from April 2017 to March 2018. More than 500 - 1000 m3 s-1 d-1 of freshwater was frequently discharged into the estuary throughout the rainy season, but less than 200 m3 s-1 d-1 was discharged through the normal season. Sluice gates of the estuarine barrage operated depending on the tide level during spring tide, but they were constantly open during neap tid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fluctuated regularly with intermittent discharges of freshwater, whereas they were stable while freshwater discharge was continuous. Mean salinity was 29 during the study period. Salinity exceeded the mean value in the normal season and rapidly recovered after a temporary reduction. In contrast, water with salinity below the mean value prevailed in the estuary for three months over the rainy seas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affected by the amount of freshwater discharg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discharge on a large scale and the time over which the freshwater discharge continue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 장소 및 기간
  2.2 자료의 수집
 3. 결과 및 고찰
  3.1 낙동강 하구둑의 담수 방류 양상
  3.2 표층 수온 및 염분 변동
  3.3 염분의 회복 양상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상일(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angil Kim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윤석현(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eok-Hyun Youn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