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게임의 하위 장르 분화 양상 연구 – 로그라이크, 메트로배니아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디지털 게임의 하위 장르 분화 양상을 고찰하고 각 양상에 따라 핵심 장르 요소가 변화 하는 특성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디지털 게임의 장르는 변화를 거듭하는 생성적 체계이다. 기존 장르의 핵심 메커니즘을 수정하거나 뒤집으며 등장하는 게임의 하위 장르들은 게임의 장르 체계가 지닌 생성적 성격을 확인할수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하위 장르 분화를 고찰한 기존의 연구들 이 게임 텍스트의 계보학을 통해 메커니즘의 변화를 추적했다면, 본 논문은 플레이어가 장르 변화를 인지하는 원리에 초점을 두고 해당 양상을 분석한다.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해 ‘로그라이크’와 ‘메트로배니아’ 장르의 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로그라이크는 상위 장르와의 프레임 대립을 통해, 메트로배니아는 상위 장르의 프레임 확장을 통해 변별력을 확보한 장르임을 확인했다. 프레임 대립에 따라 분화한 하위 장르의 경우 핵심 장르 요소는 독립성을 확보하고 손쉽게 타 장르와 결합되며, 프레임 확장에 따라 분화한 하위 장르의 경우 핵심 장르 요소는 맥락 의존성을 강하게 드러내며 해당 장르의 맥락을 벗어나 사용되기 힘들다는 특징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re differentiation in digital games and examine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ore genre element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that how players recognize genre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The evolution of the genre does not end with decline or extinction. The genre keeps being divided into sub-genres through partial use of genre elements. The differentiation of the genre results from the principle of frame confrontation or expansion with a parent genre. Rogue-like games are differentiated from Role-playing games by frame conflict, while Metroidvania games are differentiated from Platform adventure games by frame expansion. In the former case, the core genre elements are independent and easily combined with other genres. For example, the core mechanism of Rogue-like genre like ‘perma-death’ or ‘procedural generation’ has a decis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game experience become an independent genre element. In the latter case of Metroidvania, the core genre elements strongly reveals context dependency and are difficult to use outside the genre convention. The core mechanism of Metroidvania is ‘backtracking’ in the labyrinth style map, but it could be effective genre element within the specific context like side-scrolling action-plat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