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Game Commitment in Adolescents KCI 등재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게임 몰입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본 논문은 2016년 기준 전국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게임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게임은 한국의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한 분야로 문화콘텐츠로써의 강국이 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산업 분야이다. 하지만 게임 과몰입은 게임 과몰입이라는 부정적인 어휘로 표현되며 사회문제 및 청소년 문제로 언급되며 게임이라는 콘텐츠에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모든 사용자는 콘텐츠를 즐길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게임에만 이런 부정적인 단어가 사용되며 마치 사회문제인 것처럼 잘못 포장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기존 연구에서 도출되었던 많은 정서적 문제들은 일반 청소년의 경우 게임이용과 관련성을 보기 힘들었으며, ‘우울‘과 관련된 문항들을 통해 일상생활에 대한 의욕이나 에너지가 부족한 학생들은 게임이용에서도 의욕이나 흥미를 나타내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 었으며 매사에 적극적이며 정서적으로 밝은 학생들이 게임 콘텐츠 이용 빈도 수 또한 높다는 결론 을 통해 게임과 청소년 정서문제의 긍정적인 면을 도출하였다.

This thes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use of games in the first year students of the national high school in 2016. The gam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industries in Korea and is an industry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becoming a powerhouse as cultural contents. However, games and immersion are expressed as a negative vocabulary of game addiction and are referred to as social problems and youth problems, and they give negative perception to the content of games. All users have the right to enjoy the content, but only negative words are used in poisonous games and they are packed as if they are social problems. In the present study, many emotional problems that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not related to game use in general adolescents. Through the questions related to 'depression', students who are not motivated or ener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s of game and youth emotional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who are active and emotionally bright are more likely to use game cont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chang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game positively by breaking the social fixed point of view that the emotionally troubled adolescents engage with the game and cause social problems.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Subject
 3.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Ok Hue Cho(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Technology, Seoul Cyber University) | 조옥희
  • Myo Yeon Huh(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Cyber University) | 허묘연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