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lationship with Visualization and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Games KCI 등재

가상현실 게임에서의 시각화와 몰입도의 상관관계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3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가상현실은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와 분리된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분리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몰입도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분리된 환경으로 인해서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 불안정한 가상현실 게임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시각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시각화는 일반적으로 가상현실의 공간과는 관계가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이것이 적용 되는 가상현실의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몰입도는 개인마다 성향 차이가 있으며, 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몰입도 성향에 따른 설문과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전달하는 두 개의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개인의 몰입도 성향을 측정하고, 이를 성향별로 구분지어 시각화가 가상현실 게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이 결과를 통해 개인의 몰입도 성향에 따른 가상현실 게임 환경 조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Virtual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implement environments that are separate from the real world, and immer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lementing separate environments. However,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a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lead to an unstable virtual reality game environment. Most studies are focused on solving problems through visualization. On the other hand, because visualizations are generally information that is not relevant to the space of virtual reality,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 of the degree of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to which they are applied. The guidelines are necessary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tendenci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mersion. In order to solve these two problems, we are going to conduct experiments on two systems: a survey based on the immersion tendency and a visualiz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se results, we will measure the immersion of individuals and identify the impact of visualizations on virtual reality games by dividing them by their propensity to do so to present guidelines on the creation of virtual reality game environments based on the individual's tendency to engage in immersion.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2.1 Room Scale
  2.2 Presence in Virtual Reality
  2.3 ITQ and PQ
  2.4 Augmented Virtuality
 3. Experiment
  3.1 Participants and Experimental Environment
  3.2 Experiment methods
 4. Evaluation
  4.1 ITQ measurement result
  4.2 PQ measurement result
  4.3 Comparison of PQ measurement resultsbetween ITQ and Minimap
  4.4 Comparison of PQ measurement resultsbetween ITQ and Chaperone
 5.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Min Soo Choi(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Hong-ik University) | 최민수
  • Jun Park(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Hong-ik University) | 박준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