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월송포진성과 울릉도ㆍ독도 수토 관련 유적ㆍ유물

Weolsongpojinseong and Remains and Relics of Patrol over Ulleungdo and Dok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142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8.14.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3,7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조선 후기 들어와 울릉도․ 독도에 대해 수토정책이 취해져 그 관리가 강화되었 다. 이 수토정책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문헌자료에 의해 이루어졌고 고고학적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필자는 이 점에 착안하여 수토 관련 유적․ 유물을 찾기 시작 하였으며, 이 글에서는 그동안 찾아낸 울진지역의 고고학적 자료들을 소개․분석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고자료들이 울진지역에서 나타나는 연유를 울릉도의 행정 체계에서 찾아보았다.
특히 대풍헌에 남아 있는 수토 관련 7점의 현판과 「완문」․「수토절목」의 고문서는 울릉도․ 독도 수토 시 수토사들이 항구에서 바람을 기다렸다는 『조선왕조실록』 의 편린을 입증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또 삼척영장과 월송만호의 윤회수토 담당부대로서 그 유적지인 월송포진성이 울진에서 확인되어 그 실체를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평해군수 심의완 영세불망비 또한 울릉도 연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선이 꾸준히 울릉도․ 독도를 관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물적 자료이면서 조선 정부가 평해군수에게 울릉도 첨사를 겸직하게 하는 『고종실록』의 행정체제 변화 기사를 입증하는 금석문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자료들은 조선이 울릉도․ 독도를 우리의 영토로 인식하고 정기적으로 섬의 상황을 파악하려고 수군을 보냈던 문헌기록을 입증해주는 고고학적 자료들로 울릉도․ 독도 수토연구에 귀중 한 1차 사료들이라 하겠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the government patrol policy to protect Ulleungdo and Dokdo to reinforce their management. Most studies on this government patrol policy were based on the literature, not on the archaeological resources. I started looking for the remains and relics related to the government patrol policy and discussed an analysis of the archaeological resources of Uljin region. I also addressed the reason why these archaeological resources are found in Uljin region in relation to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Ulleungdo.
The seven pieces of tablets remaining in Daepungheon and the old texts such as 「Wanmun」 and 「Sutojeolmok」 became invaluable resources to prove the part of 『Joseonwangjosillok』 that the government patrol officers of Ulleungdo ․ Dokdo waited for the wind at the port. Also, Weolsongpojinseong was located in Uljin as the military base in charge of circulating the area under the command of Samcheok Yeongjang and Weolsong Manho. Yeongsebulmang Monument of Ui-Wan Shim, the governor of Pyeonghae, is another physical resource to show that Joseon was managing Ulleungdo ․ Dokdo as shown in the chronology of Ulleungdo. It records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system in『Gojongsillok』 where the government of Joseon assigned the governor of Pyeonghae to administer Ulleungdo. These resources are the archaeological relics that support the literature that Joseon recognized Ulleungdo ․ Dokdo as its territories and sent the naval forces to monitor the islands regularly and the most precious historical resources for the study of government patrol over Ulleungdo ․ Dokd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울릉도․ 독도 수토 관련 유적․ 유물
 Ⅲ. 울진과 울릉도․ 독도의 연관성 및 행정체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심현용((재)독도재단/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 Shim Hyun-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