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munity composition of ground-dwelling beetle and spider in paddy dike in Jeongeup and Jangsu are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981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정읍과 장수지역은 고도 차이로 인해 평균기온이 다르며, 이러한 환경조건은 생물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표서식성 딱정벌레와 거미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8년 3월에 지역별로 10지점의 논둑에서 pitfall-trap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딱정벌레는 정읍에서 42종이 장수에서 30종이 발견되었으며, 작은모래거저리가 가장 많았다. 거미는 두 지역 모두 40종이 발견되었으며, 턱거미가 가장 많았다. nMDS와 MRPP 분석에서 두 지역의 딱정벌레와 거미의 군집조성이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딱정벌레와 거미의 개체수와 다양성지수 (species richness, Shannon index, evenness 등)도 지역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청동머리먼지벌레의 상대밀도는 장수가 12.3%로 정읍의 0.6%보다 컸다. 또한 밭고랑거미는 장수에서 거미 총개체수의 5.6%를 차지하였으나 정읍에서는 채집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의 환경차이가 딱정벌레와 거미의 전체 군집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지만, 일부 종에 대해서는 지역적 특이성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저자
  • Jinu Eo(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Myung-Hyun Kim(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Hyung-Kyu Nam(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Young-Ju Song(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