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융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한국금융교육학회 (Korea Association of Financial Education)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금융 이해력, 금융 행위, 금융 성과, 금융교육의 효과를 소재로 진행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를 통해 우리가 확실하게 알게 된 사실은 생각보다 많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뿐이다. 혼자 힘으로 금융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하지 못하여 최적의 금융 성과를 얻지 못하는 금융 소비자가 다수 존재하며, 금융 이해력은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량 가운데 하나이고,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금융교육보다는 특정 금융 행위에 초점을 둔 특화 내용의 금융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 데 더 기여한다는 정도뿐이다. 금융교육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금융 행위와 금융성과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는 근거는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으며 엇갈린 발견이 보고되고 있다. 금융교육 확대를 주장하기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금융 이해력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안 탐구하기, 금융교육이 개인의 금융 성과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증거 확보하기, 금융교육의 긍정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전략 모색하기, 금융교육과 기타 경제교육 정책 수단의 효율성을 비교하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목차
요약
 Ⅰ. 연구 배경과 목적
 Ⅱ. 금융 이해력의 중요성과 측정
  1. 금융 이해력의 중요성
  2. 금융 이해력의 측정: 빅 3와 빅 5
  3. 측정 도구의 평가
 Ⅲ. 금융 이해력과 금융 행위의 관계
  1. 금융 이해력이 금융 행위에 도움을 주는가?
  2. 인과 관계가 한 쪽으로만 존재하는가?
 Ⅳ. 금융교육의 금융 행위에 대한 효과
  1. 금융교육이 금융 행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엇갈린 발견
  2. 금융교육 효과 분석에서의 과제
 Ⅴ. 금융교육과 기타 정책 수단
  1. 개인의 합리적 선택과 개입 필요성
  2. 효과적인 정부 개입 수단
 참고문헌
저자
  • 한진수(경인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