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험실 연구를 위한 엽상형 해조류의 생체량 추정 방법 KCI 등재

Estimating the Individual Dry Weight of Sheet Form Macroalgae for Laboratory Stud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엽상형 해조류의 간접적인 건중량 추정을 위해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 잎파래(Ulva linza), 개도박(Pachymeniopsis lanceolata),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형태적 특성과 생체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시료는 2017년 2월부터 2018년 12월 까지 남해안 6곳에서 채집되었으며, 총 319개체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엽상형 해조류 네 종의 길이와 생체량에 대한 상대성장 지수는 0.28로 일반적인 1/4(0.25) 지수법칙에 해당하였다. 네 종의 엽체의 표면적과 습중량은 각각 건중량과 유의한 선형관계를 보였으며, 건중량의 94~99%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엽상형 해조류의 표면적 또는 습중량을 통해 개체의 건중량을 매우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론은 실험실 연구에서 건중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을 때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dry weight to develop a method for estimating the individual dry weight of sheet form macroalgae: Ulva australis, Ulva linza, Pachymeniopsis lanceolata, and Pyropia yezoensis. In Total, 319 thalli of various sizes were collected at six sites from February 2017 to December 2018. An interspecific allometric exponent of 0.28 was found for length-biomass allometry in four sheet form macroalgae, corresponding to a 1/4-power law for primary produc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surface area and individual dry weight, as well as between individual fresh weight and individual dry weight, were found to fit significantly using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his explained 94-99% of individual dry weight, indicating that surface area and individual fresh weight can be used to accurately estimate individual dry weight. We propose the use of this method when experimental processes do not allow individual dry weight to be measured directly, so researchers can save both time and expens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료의 채칩과 측정
  2.2 상대성장 비(Allometric scaling) 평가
  2.3 생체량 추정
 3. 결과 및 고찰
  3.1 상대성장 비(Allometric scaling)
  3.2 생체량 추정
  3.3 활용을 위한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상일(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angil Kim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윤석현(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Seok-Hyun Youn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