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을 위한 방법적 모색 KCI 등재

Methodological Groping for Expanding the Horizon for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16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중고등학교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에 필요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 한시 이해-감상의 실제를 검토하고, 이해-감상 교육을 심화할 방법으로 전통 詩話 내용 요소와 한시 일반 이론의 참고, 작품 위계화,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 등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이해-감상의 실제를 보면, 먼저 이해-감상의 대상인 교과서 한시의 수준별 위계에 대한 기준이 분명치 않았다. 이해-감상의 서술에 있어서는 일부 교과서가 불분명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부분은 무리가 없었다. 다만 학습활동까지 염두에 둘 때, 전통적인 해석 방식을 존중하는 한편 분명한 관점 아래 적확한 서술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에 의거해야 하는 집필상의 고충은 이해하나, 형식 요소의 제시나 시상전개 설명에 있어서의 경직성은 검토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교과서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 방법을 네 가지 방향에서 생각해 보았다. 첫째로 대상 작품 위계 기준 설정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향후 논의를 통해 수록 한시의 범위 설정, 범위 내에서의 위계화, 위계화의 기준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개략적인 위계화의 기준으로 주제, 제재에 있어서 생활 경험과 가까운 것으로부터 추상적, 관념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원관념-보조관념의 관계가 명확한 것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것, 시상전개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작품부터 제시해야 한다는 것 등을 들었다. 둘째로 시화, 비평서 등에 나타난 시로서의 성립 요건, 언어예술적 특성 관련 요소를 이해-감상 교육에 적극 반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셋째로 교과서 이해-감상에서의 시상 전개의 일률화, 경직화의 경향을 지적하고, 다변화의 한 방법으로 현대 한시 이해-감상 이론의 하나를 소개하였다. 넷째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 시체, 압운, 대우 등 형식적 요소에 대한 선택적이고 신축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현대 언어교육에 있어서의 전통적 대우 자료의 활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상 제시한 몇 가지 방안이 진일보한 이해-감상 교육을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seeks to find vari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expanding the horizon of 'Chinese poems understanding‐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To do this, we examined the practice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in textbooks,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raditional talks on poetry (詩話) and the general theory of Chinese poems, we explored how to deepen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four ways of expanding the horizon for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in textbooks. First, we presented suggestions on setting hierarchical criteria for the target works. The scope of Chinese poems to be included in future discussions, the hierarchy within the range, and the hierarchical criteria, etc. should be prepared. As a basis for approximate hierarchy, this study claims that in terms of subjects an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being close to life experience to abstract and conceptual ones, to be educa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 and subordination is clear, and to provide typical works that show the flow of the development of the poetic sentiment. Second,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poems in talks on poetry and criticism, etc., and the elements related to linguistic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understanding‐appreciation education. Third, this study pointed out the tendency of uniformization and rigidity of development of poetic sentiment in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textbooks, and introduced the general theory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as a method of diversification. Fourth, this study referred to rea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work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need for selective and flexible education of formal elements such as styles of poetry, rhyme, and contraposition, and considering the use of traditional contraposition data in modern language education. We hope that some of the above suggestions will be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the education of further understanding‐appreci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교과서 소재 한시 이해-감상 실제의 검토
 Ⅲ.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을 위한 방법적 모색
 Ⅳ. 맺음말
 參考文獻 Reference
 Abstract
저자
  • 김창호(원광대학교 한문교육과/한문번역연구소/인공지능사회연구소) | Kim Chang-ho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