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대한어 음절 분포 연구 -각국 사전에 반영된 음절 분포 분석- KCI 등재

The Study of syllabic distribution in Modern Chinese[普通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22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말소리는 분절음(segmental phonemes)과 초분절소(suprasegmental phonemes)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절음은 音色으로 분별하는 자음과 모음이며, 초분절소는 소리의 고저, 강약, 장단으로 의미를 분별하는 요소이다. 한어의 음절은 분절음인 성모와 운모 및 초분절소인 성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분절음인 성모와 운모만의 구성을 분절음절이라고 할 수 있다. 한어의 음절을 구성하는 규칙은 매우 고정적이고 간단하기 때문에 음절의 수량과 분포 상태 역시 비교적 단순하다. 비록 그 동안 현대한어의 음절수와 분포 상태에 대해서는 줄곧 많은 관심을 가졌지만 방언 어휘, 감탄사, 의성사, 문어 어휘 및 경성음절의 수록 범위가 일치하지 않아 각 사전의 음절과 분절음절의 수량과 분포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중국에서 출판한 《现代汉语词典》《新华字典》《现代汉语规范字典》《现代汉语规范词典》과 일본에서 출판한 《中日大辭典》 및 한국에서 출판한 《中韓辭典》(고대 민족문화연구원)《中韓辭典》(두산동아) 등 7종의 자전 혹은 사전을 선택하여 각 사전에 수록된 기본음절, 비기본음절, 경성음절과 기본분절음절, 비기본분절음절, 경성음절을 모든 사전에 수록된 공통음절과 어느 일부의 사전에 수록된 개별음절로 나누어 수량, 분포 상태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7종 사전에 수록된 공통음절은 1277개(경성 24개 포함)이고,개별음절은 99개(경성음절 38개 포함)이어서 음절 총량은 1376개이며, 7종 사전 전부에 수록된 공통분절음절은 404개이고 개별음절은 18개(특수음절 7개 포함)이어서 분절음절 총수는 422개이다. 경성음절의 수록 조건과 범위에 대해서는 모든 사전이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아 각 사전의 수록 범위가 일치하지 않다. 《现代汉语规范词典》을 편찬한 주요 목적은 현대한어의 표준화에 있으며, 실제 공통분절음절 404개 외에 기본음절로 편입된 분절음절 “cei”와 “eng”를 표준으로 인정하고 기타 특수음절은 모두 취소하였으므로 결국 표준 분절음절은 406개이고 비경성기본음절은 1272개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音位可分为音段音位(segmental phonemes)和超音段音位(suprasegmental phonemes), 音段音位即是区别意义的最小语音单位,超音段音位通过跨越音段音 位的音高、音强、音长来辩义。汉语的音节由音段音位声母、韵母和超音段音位声 调构成,所以本文把由声母、韵母组成的不带声调的音节暂称“音段音节”。 组成汉语音节的规律较为固定简单,音节的分布也比较单纯。虽然人们对于现 代汉语[普通话]的音节数量和分布状况一直很关心,但是由于方言词汇、感叹词、 拟声词,文言词汇、轻声音节的收录范围不一,各词典的音节和音段音节的数量和 分布均不一样。 本文选择在中国出版的《现代汉语词典》《新华字典》《现代汉语规范字典》 《现代汉语规范词典》,在日本出版的《中日大辭典》,在韩国出版的《中韓辭 典》《東亞中韓辭典》等七种字典或词典,把各词典收录的基本音节、非基本音 节、轻声音节和基本音段音节、非基本音段音节、轻声音段音节,分为共同音节和 个别音节,分析比较其数量、分布状况和特征。 七种词典全部收录的共同音节为1277个(包括轻声24个),不同词典个别收录的 个别音节为99个(包括轻声38个),总量为1376个。共同 为404个,个别音节为18 个(包括7个特殊音节),音段音节总量422个。至于轻声音节的收录条件和范围,所 有词典都没有明确的根据,因此各词典收录的范围很不一致。 编撰《现代汉语规范词典》的主要目的在现代汉语的规范化,实际上在共同音 段音节404个上,加上“cei”和“eng”音段音节,删除7个特殊音段音节。因此我们可 以确定音段音节为406个,非轻声基本音节为1272个。

목차
1. 연구 목적
 2. 한어의 음절 구조
 3. 각종 사전의 음절 분포
  3-1 공통음절과 개별음절 분포
  3-2 각 사전의 음절 분포
   3-2-1 《现代汉语规范字典》
   3-2-2 《现代汉语词典》
   3-2-3 《新华字典》
   3-2-4 《现代汉语规范词典》
   3-2-5 《中日大辭典》
   3-2-6 《中韓辭典》(민족문화연구원)
   3-2-7 《中韓辭典》(두산동아)
 4. 음절 분포 편차
  4-1 음절의 편차
   4-1-1 기본음절
   4-1-2 비기본음절
   4-1-3 경성음절
  4-2 분절음절
   4-2-1 기본분절음절
   4-2-2 특수분절음절
 5.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
  • 康寔鎭(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 강식진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