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의 시각화를 위한 수업 지도방안 KCI 등재

A Study on Instructional Education Research for Text Visualiz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29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7.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는 여전히 논리와 신뢰성을 으로 하는 사고이지만, 최근엔 창의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과 문제해결의 도구로써 디자인 사고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연구자가 속한 대학에서 디자인 사고 교육을 타 학부에서 진행한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수업의 사례에 대한 고찰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 이후 진행되었다. 2015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3년간 D대학교 인문계열 1학년 대상의 수업에서 본 연구자가 설계한 시각화 학습 모형을 디자인사고 교육에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그 이후 도출된 결과물을 디자인 사고 수업의 지도 방안을 중 하나의 결과물로 기록하고 공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을 진행한 결과, 디자인 사고 교육에서 시각화 교육을 적용 할 경우 틀에 박힌 사고를 뛰어넘어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교육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주입식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언어적 사고로 길들여진 학생들에게 시각적 사고의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 간에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도 이미지를 활용하고 이를 통해 정보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었다. 디자인적 사고는 창의력 교육에 있어 타 전공 학생들에게 융합적 사고를 향상시켜 새로운 시대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생각한다.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는 비전공 학생들이 시각적 사고를 계속적으로 학습한다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향후 디자인적 사고가 전공을 초월하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창의적인 도구가 되는 사고능력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imarily to consider education for design thinking provided by the university this researcher is affiliated to regarding the cases of ‘Design and Creative Ideas' class opened in other departments. About the method of this study, it is conducted in the order of literature review, class design, class provision, and arrangement of class results. The class was provided to freshmen in D University from 2015 until 2016. When the class was planned, the model to learn visualization designed by this researcher was applied to education for design thin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ass provision, when visualization is applied to education for design thinking, it is possible to be free from stereotyped thinking and approach problems in a new way; therefore, it is found to be effective in education for original and creative thinking. Also, students accustomed to language-based thinking due to school education will have to practice visual thinking, too. Education for design thinking is the core of education for creativity since it is the process of solving programs in a systematical and integrative way. This researcher aims to prove that design thinking will form thinking skills that can lay the grounds for solving problems and finding answers regardless of one’s major afterwards.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텍스트의 시각화 수업 지도방안
 4. 시각화 수업의 과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은희(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 Choi Eun hee
  • 이진호(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 Lee Jin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