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 서식하는 어류의 식성 관련 연구 현황 KCI 등재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eeding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1969~2018년)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서 수행된 어류먹이원 분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확인된 연구논문은 총 101편 이었으며, 이 중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81편, 보고서는 6편 그리고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14편 이었다. 발표된 연구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1990~1999년에 21편 (19.4%; 2.1편±3.0/년 [평균±표준 편차]), 2000~2009년에 26편 (24.1%; 2.6편±2.3/년)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2018년에는 52편 (48.1%; 5.8편±2.3/ 년)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국내 연안 - 하구에서 어류먹이원 분석을 수행한 조사수역의 해역을 방위 (남해, 남 - 동해, 동해, 서해)로 나누어보면, 남해에서 65편 (69.1%)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뒤를 동해가 13편 (13.8%), 서해와 남 - 동해에서 각각 8편씩 (8.5%)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의 분포를 보면 광양만에서 18편 (24.3%)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가덕도에서 8편 (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출간된 논문의 방법론적 특성을 보면, 먹이원 중요도나 생태적 지위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지표 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14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지수는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와 Pi (Prey-specific abundance)였으며, E (electivity index) 와 Bi (dietary breadth index)가 그 뒤를 이었다. 총 11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correlation analysis와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주제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논문들은 계절적 또는 조사 지점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2000년도 이후부터는 국제 학회지에 출판되기 시작한 논문들은 종간 경쟁 (competition), 동소성 (sympatric), 생태직위중첩 (niche overlap) 등과 같은 세부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 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경우 다소 정형화 된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으며 조사되지 않은 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향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되는 연구논문에서도 종간 경쟁, 먹이 망 구조 파악 등과 같은 생태학적 주제를 반증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We carried out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ood sources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for the last fifty years (1969~2018). A total of 101 research papers were reviewed, of which 81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7 were puliched in domestic reports and 14 we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When divided into the decade periods, 21 papers (19.4%) between 1990 and 1999 and 26 papers (24.1%) between 2000 and 2009, and 42 papers (48.1%) were published in 2010 and 2018, respectively. When divided into the survey area by a bearing (East sea, South-East sea, South Sea, and West Sea), 65 papers (69.1%) were carried out in the South Sea. Followed by 13 papers (13.8%) in the East Sea and 8 papers (8.5%) in the West Sea and the South-East Sea, respectively. The surveyed area was dominant in Gwangyang Bay (18 papers; 24.3%), followed by Gadeok-do (8 papers; 10.8%). Of the diversity indices, 14 indices were used to calculate the ecological status. The dominant indices were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Pi (Prey-specific abundance) followed by E (electivity index) and Bi (dietary breadth index). A total of 11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find feeding strateg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were applied most frequently. In terms of ecological research topics, the papers focused on seasonal or spatial differences before 2000. Since 2000, specifically, the international journ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based on competition, sympatric, niche overlap and other ecological topic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국내 어류먹이원 연구 문헌 수집
  2. 분석 및 통계
 결 과
  1. 연구논문편수의 시간적 변이
  2. 조사지 공간 및 종별 분포
  3. 방법론적 특성
  4. 생태학적 주제 변화
 고 찰
  1. 우리나라 연안 - 하구 어류먹이원 연구의 현황
  2. 우리나라 연안 - 하구 어류먹이원 연구의 향후 발전 방향
 적 요
 REFERENCES
저자
  • 조현빈(전남대학교 수 산과학연구소) | Hyunbin Jo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김동균(전남대학교 수 산과학연구소) | Dong-Kyun Kim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박기연(전남대학교 수 산과학연구소) | Kiyun Park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이완옥(전남대학교 수 산과학연구소) | Wan-Ok Le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곽인실(전남대학교 환경해양학전공) | Ihn-Sil Kwak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