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KCI 등재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historic sites and urban park of Gyeongju-si,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경주시 사적지, 도시공원지역, 그리고 하천 86개소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귀화식물을 조사한 결과 21과 59속 78종 1아종 5변종으로 총 8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사적지는 68분류군, 근린공원 43분류군, 하천 59분류군, 소공원 42분류군 등으로 나타났다. 출현식물 중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은 귀화도 3등급 분류군이 31.0%,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5등급이 29.8%,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지 않은 분류군인 2등급이 20.2% 등으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애기 수영 등 7분류군으로 가시상추는 41.9%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였고, 미국쑥부쟁이는 34.9%로 하천변에서, 애기수영은 25.6%로 사적지나 소공원 일원에서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생태계교란식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특히, 정착초기에 물리적 제거나 토양의 대체 등 관리 계획이 필요하다.

The flora of naturalized plants in historic sites, urban parks and stream of Gyeongju-si, South Korea were summarized as 84 taxa including 21 families, 59 genera, 78 species, 1 subspecies, and 5 varieties. Direc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a historic site with 68 taxa, a neighborhood park with 43 taxa, a stream with 59 taxa and a small park with 42 taxa at 86 sites. Among them, 31.0% (Naturalized Degree (ND) 3) was common but not abundant, 29.8% (ND 5) was common and an abundant plant, 20.2% (ND 2) was local and not an abundant plant. 7 taxa such as Lactuca scariola, Symphyotrichum pilosum, Rumex acetosella were invasive alien species. Lactuca scariola was the most abundant with 41.9%, Symphyotrichum pilosum was more abundant around stream with 34.9%, and Rumex acetosella was abundant on historic sites or small park with 25.6% in all the surveyed sites. To prevent spread of invasive alien species, monitoring may be required, especially, in early settlement stage. A proper management plan needs to be incorporated through physical removal of those plants, substitution of soil and so 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귀화식물의 현황
  2. 생활환과 귀화도
  3.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적 요
 REFERENCES
저자
  • 송임근(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생물다양성기초연구소) | Imgeun Song (Department of Life Sciences, Yeungnam University/Basic Institute of Biodiversity)
  • 박선주(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Seonjoo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s, Ye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