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시 만드는 새로운 일상 - 노인 주간보호(adult day-care) 활동 참여에 대한 연구 - KCI 등재

Restructured New Daily Living -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n Adult Daycare Program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본 연구는 노인 주간보호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활동 참여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노인 주간보호 참여자들의 경험과 그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참여관찰, 그리고 운영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에서 장애를 가진 노인들은 일상적인 활동의 결여와 대인관계의 고립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건강 의 악화를 경험하였다. 노인 주간보호는 참여자에게 일상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이 러한 경험은 새롭게 일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설명되었다. 결론 : 주간보호에서 활동참여를 통한 일상의 재구성은 일과와 대인관계의 변화와 관련되었다. 노인 주간보호는 활동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건강과 활동참여의 연관성을 주목해온 작업치료사들이 보다 관심을 가 져야할 임상영역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n adult day-care program. Through this study, we found ground materials for pre paring support programs that promote elderly disabled peoples' adaptation to adult day-care and the roles of occupational therapy to be considered in such care. Methods :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an adult daycare center.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participant observations, field notes, and program diaries from December 1st, 2005 to April 30th, 2006, and analyzed them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 In the analysis, 115 concepts, 12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were emerged from the raw data, and all are constituted on the paradigm model. ‘Reconstructed new daily livingʼ was the care category in this study and was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change of two factors: daily routine and social network. The part icipants showed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dependent participation, independent participation, and interdepen dent participation, and each of the participation types showed differences in expectation, meaning of activity, and interactions with peers. Conclusion : This study explained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an adult care center, and provided strategies for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o enhance their particip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분석
  2. 핵심범주 : 일상의 재구성
  3. 장애노인들의 주간보호 활동참여의 유형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슬기 | Kim Seul-G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