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가 관절염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의학적 특성과 방문재활서비스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KCI 등재

Med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Arthritis Patients With Different ADL and Their Awareness of and Demand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 여 노인 관절염환자에 대한 방문재활치료모델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3개의 노인복지관과 1개의 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재가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부하여 11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79부 (72%)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방문재활서비스 요구도(10문항)와 관절염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Osteoarthritis)검사와 수정 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구성하였다. 한국형 WOMAC과 수정바텔지수(MBI), 시각적통증검사(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한국형 WOMAC의 기능 수준에 따른 일반적 사 항, 의학적 사항, 방문재활서비스 인식도, 방문재활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유, 방문재활서비스의 구체적 욕구에 대하 여 교차분석(3XR)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 79명의 진단명은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61명(79.2%)이었으며, 통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슬 관절로 나타났다.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지만 응답자의 93.7%(74명)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기능별로는 1등급에서는 15명(19.0%), 2등급에서는 44명(55.7%), 3등급에서는 15명(19.0%)이 방문재활서비 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재가 노인 관절염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갖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재가 관절염 노인들을 위한 실증적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ed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elderly arthritis pati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ADL, and to use the results for developing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 models and health and welfare related policies. Method: Home-stay patients registered with one of three welfare centers or one senior daycare center in Daejeon were studied.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10 were collected by their therapists. Among them, 79 questionnaires with high response rat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i) ten questions to ascertain the need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ii) a WOMAC to evaluate the subjects' severity of arthritis, and iii) an MBI. The WOMAC divided the ADLs of the 79 subjects into three classes. Results: Most of the patients studied (79.2%) had degenerative arthritis. The largest percent suffered from constant pain in their knees. They were not well aware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but 74 (93.7%) stated that they needed such services: 15 (19.0%) in the first class, 44 (55.7%) in the second class, and 15 (19.0%) in the third clas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elderly arthritis patients staying at home have a high demand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With an increasingly aging society, providing such services will enable elderly patients to avoid the discomfort of visiting hospitals and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regular rehabilitation treatments at hom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관절염의 증상과 일상생활활동, 통증의 상관성 비교
  2. WOMAC의 기능 수준별 대상자의 특성 비교
  3. 방문재활서비스 인식도
  4. 방문재활서비스의 필요성
  5. 방문재활서비스의 구체적 요구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영주 | Park Young-Zoo
  • 최종덕 | Choi Jong-Duk
  • 김진경 | Kim Ji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