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숭아 유전자원의 적색 과육 판별 SNP 분자표지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SNP Molecular Marker for Red-fleshed Color Identification of Peach Genetic Resour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04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과피와 과육의 다양한 색은 복숭아 분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업적 기준 중 하나이다. 새로운 적색 과육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교배 조합과 세대가 진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육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적 형질을 가진 개체에 적용할 조기 선발 분자표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과육색이 다르게 발현되는 복숭아 품종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2개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적색 과육 품종인 ‘조생혈도’와 백색 과육 품종인 ‘미백도’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보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사용하였고, 두 품종으로부터 얻은 EST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조생혈도’와 ‘미백도’의 EST database로부터 72쌍의 SNP 분자표지를 선발하였고, 적색 과육 품종 8개와 백색 과육 품종 24개를 구분할 수 있는 SNP 분자표지를 H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EST database를 기반으로 HRM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의 적육계와 백육계를 구분할 수 있는 효율적인 SNP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SNP 분자표지는 복숭아 육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숭아 품종의 다양한 색 변화에 관한 분자 기작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colors of fruit skin and flesh are the most popular commercial criteria for peach classification. In order to breed new red-fleshed peach cultivar, many cross seedlings and generations should be maintai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selection markers to screen seedlings with target traits to increase breeding efficiency. For the comparison of transcription profiles in peach cultivars differing in flesh color expression, two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between red-fleshed peach cultivar, ‘Josanghyeoldo’ and white-fleshed peach cultivar, ‘Mibaekdo’ were analyz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Expressed sequence tag (EST) of clones from the two cultivars were selected for nucleotide sequence determination and homology searches. Putativ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were screened from peach EST contigs by high resolution melting (HRM) analysis displayed specific difference between 8 red-fleshed peach cultivars and 24 white-fleshed peach cultivars. All 72 pairs of SNPs were discriminated and the HRM profiles of amplicons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reported here, the development of SNP markers for distinguishing between red and white fleshed peach cultivars by HRM analysis offers the opportunity to use DNA markers. This SNP marker could be useful for peach marker assisted breeding and provide a good reference for relevant research on molecular mechanisms of color variation in peach cultivar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와 RNA 분리
    ‘조생혈도’와 ‘미백도’의 RNA–Seq data를 이용한 SNP 분석
    HRM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결과 및 고찰
    복숭아 RNA-Seq data를 이용한 SNP 분석
    HRM 분석을 이용한 SNP 분자표지 개발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세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Se Hee Kim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교신저자
  • 남은영(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Eun Young Nam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조강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Kang Hee Cho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전지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Ji Hae Jun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정경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Kyeong Ho Chung (Frui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