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latformer Game Contents Creative System using Paper and Its Effects KCI 등재

종이도안을 이용한 플랫포머 게임 콘텐츠 창작 시스템과 그 효과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07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본 연구는 A4용지 규격의 종이 도안에 플랫포머 게임의 콘텐츠를 작성하고, 작성된 게임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여 디지털로 변환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종이도안을 활용한 게임 콘텐츠는 실제 종이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직접 게임 오브젝트를 그려 넣는 방식을 사용한다. 오브젝트 디자인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핵심 게임 오브젝트의 패턴화하였고 의미가 있는 패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조합 패턴의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 장의 종이 위에 그릴 수 있는 게임 화면의 크기가 제한적인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작한 게임 화면을 조합하여 게임의 여러 스테이지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종이 도안에 그려지는 게임의 오브젝트 이외의 게임 구성 요소들은 시스템 내부에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유도 높은 콘텐츠 창작 제공하고 있다. 종이 도안을 통해 반복적으로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부에서도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모델은 아동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는 게임창작 과정을 언플러그드 활동과 연동하여 손쉽게 디지털 게임 콘텐츠 창작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방식의 언플러그드 활동을 디지털 활동과 연동하여 창작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소프트웨어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We have developed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play the contents of a flat former game drawn on an A4 size paper on a mobile device. If game contents drawn in a paper drawing are recognized through a camera of the mobile device, the game contents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and enjoyed in a mobile application. The user directly draws a game object using a writing instrument in a paper drawing. In order to enhance the object design convenience, the core game object is patterned and a new combination pattern can be created by combining meaningful patterns. In addition, to complement the limited size of the map that can be drawn on one piece of paper, we added the ability to construct a stage by combining the maps. Game components other than the object of the game drawn in the paper drawing can be added inside the system, thereby providing a highly flexible content cre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cess of repetitively creating game contents through paper drawings and converting them to digital, we made it possible to create and modify game contents in the system. The servic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xperience of digital game contents creation in conjunction with unplugged activities for children.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motivate creative activities by linking traditional unplugged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igital activities, and cultivate software literacy that fits the digital age.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2.1 Precedent research
    2.2 Related Cases
3. System design
    3.2 Paper design
    3.3 Create content with pattern design
    3.4 Camera recognition of a paper design
    3.5 Editor Functions
    3.6 Adding game elements for platformer games
    3.7 Leve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created content
4.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4.1 Object of study
    4.1 Design
    4.1 the results of a study
5. Conclusion
    5.1 Conclusion
    5.2 Future research tasks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Jai Soon BAEK(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ifemedia, Ajou University) | 백재순
  • Jin Woo LEE(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ifemedia, Ajou University) | 이진우
  • Gyu Hwan OH(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ifemedia, Ajou University) | 오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