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Pupil Size in Myopia KCI 등재

근시안에서 동공크기에 따른 굴절이상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근시안에서 동공 크기에 따른 굴절이상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백내장을 제외한 안질환 및 안 수술의 과거력이 없고, 근시안이며 최대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18~58 세의 성인 75명(7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i.profilerplus(Zeiss, Germany)를 이용하여 반암실 상태(5~50 lx)에서 동공 중심부 5 mm와 3 mm 영역에서 현성굴절검사와 각막 및 안구의 수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동공 크기에 따른 측정값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Spearman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여 동공 크 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와 고위수차의 상관성을 알아보았고,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 행하여 동공 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5 mm와 3 mm에서 각각 -4.08±2.90 D와 -3.84±2.95 D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동공 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5 mm에서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 -3 mm에서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와 안구의 고위수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76, p<0.001). 연령과 성별을 보정 한 후 동공 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0.25 D) 유무에는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Z40)와 수직난시수차(vertical astigmatism, Z4-2)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시안에서는 눈의 고위수차와 저위수차의 상호작용으로 동공 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고위수차 검사 결과 값을 고려한 교정 도수를 통하여 안경 착용 시 만족도를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pupil size.
Methods : The subjects were 75 eyes(75 adults) of 18 to 58 years of age with myopia and no history of eye disease or surgery except cataract and a best-corrected visual acuity(BCVA) of 1.0 or higher. The i.profilerplus(Zeiss, Germany) was used to obtain the manifest refraction(MR) and corneal and ocular aberration in the 5 mm and 3 mm area of the pupil in the half dark room(5~50 lx). To compare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pupil size paired t-test was used. The Spearman correlation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spherical equivalent(SE) depending on pupil size and high order aberr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pupil size
Results : The mean SE were –4.08±2.90 D and -3.84±2.95 D at 5 mm and 3 mm, respectively (p<0.001).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SE depending on pupil size and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 (r=-0.676, p<0.001). After adjusting age and sex, spherical aberration(Z40) and vertical astigmatism(Z4-2) were found to affect the difference in SE depending on pupil size.
Conclusion : The interaction of low and high aberrations can cause the differences in mean S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when wearing glasses, the spectacles prescription considering the high order aberration should be calculat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 분석
Ⅲ. 결 과
Ⅳ. 고 찰
References
요 약
저자
  • Jung-Hee Kim(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희
  • Youngju An(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 안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