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Lower-order Aberrations and Higher-order Aberrations in Laser Refractive Surgery Patients KCI 등재

레이저 굴절교정 수술안에서 저위수차와 고위수차의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레이저 굴절수술 교정안에서 저위수차와 고위수차의 영향을 정시안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굴절수술 교정안 118안 및 정시안 3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안시력은 단안으로 1.0 이상이 대상자의 기준이 되었다. 눈의 저위수차와 고위수차는 6 mm 동공크기에서 파면수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정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 -6.00 D 를 기준으로 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 : 세 그룹 사이에서 6 mm 동공크기의 저위수차와 고위수차의 양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면굴절이상: p=0.013, 전체 고위수차: p=0.000, 3차 수차: p=0.001, 4차 수차: p=0.000, 코마: p=0.000, 구면수차: p=0.000), 반면에 세 그룹 사이에서 난시량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p=0.932). 교정안에서 모든 항의 고위 수차와 구면굴절이상 사이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전체 고위 수차: r=0.378, p=0.000, 코마: r=0.279, p=0.002, 구면수차: r=0.418, p=0.000). 그러나 정시안에서 고위수차와 저위수차 사이의 상관성은 없었다.
결론 : 교정안에서 난시를 제외한 저위수차와 각 항의 모든 고위수차의 양은 정시안과 비교해서 수술 전의 등 가구면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er-order aberrations (LOAs) and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in laser refractive surgery patients compared to the emmetropes.
Methods : 118 eyes of refractive surgery subjects and 36 eyes of emmetropes were enrolled. One of the subjects’ criteria was best unaided monocular visual acuity of 1.0 or better. Ocular LOAs and HOAs for a 6 mm pupil diameter were measured using a wavefront analyzer. Post-op group was divided into two post-op groups, classified by pre-op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s (SE) of <-6.00 D and ≥-6.00 D.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ocular LOA and HOAs for a 6 mm pupil among the three groups (defocus: p=0.013, total HOAs: p=0.000, 3rd-order: p=0.001, 4th-order: p=0.000, coma: p=0.000, and SA: p=0.00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magnitude of astigmatism(p=0.932). There were correlations in the post-op group between each term of HOAs and defocus (total HOAs: r=0.378, p=0.000, coma: r=0.279, p=0.002, and SA: r=0.418, p=0.000),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OAs and HOAs in emmetropes. Conclusion : The magnitude of LOAs, except for astigmatism, and HOAs of each term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operative SE in the post-op group compared to the emmetrope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2.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의 데이터
    2. 눈의 저위수차와 고위수차 분석
    3. 저위수차와 고위수차 상관관계 분석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eong-mee Kim(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