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 of Tear Film Stability and Correction for Improvement by Toric Soft Contact Lens Materials KCI 등재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른 눈물막안정성 및 교정효과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렌즈의 재질과 축안정설계가 서로 다른 3종의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토릭SCL)에서 NIBUT (눈물막안정성 테스트)와 함께 축회전 정도 및 교정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 질환이나 안과 수술이 없는 19(38 안)명의 대상자에게 서로 다른 3종의 Toric SCL를 착용하게 하였다. 3종의 렌즈로는 이중쐐기형 디자인렌즈(A렌즈), ASD 디자인렌즈(B렌즈), 프리즘밸러스트 디자인렌즈(C렌즈)를 사용하였다. 눈물막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3종의 렌즈를 착용시키고 Oculus Keratograph를 사용하여 NIBUT을 측정하였고, 교정효과는 안경교정 시력과 렌즈착용 시력을 비교 및 카메라가 장착된 슬릿램프를 이용하여 렌즈 착용상태의 회전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렌즈 착용 20분 후(단시간착용), 8시간 후(장시간)에 실시하였다.
결과 : 교정시력은 A렌즈가 착용초기에는 중간정도를 보였고, 장시간 착용 후에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NIBUT의 결과 B렌즈는 착용초기 가장 우수하였으나(p<0.050), 장시간 착용 후에는 A렌즈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0). 축안정성은 착용초기 A렌즈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0). 그러나, 장시간 후에는 B렌즈가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0).
결론 : 하이드로로겔 소재인 A렌즈는 교정시력은 가장 우수하였으나, 눈물막안정성이 착용초기 보다 착용시간이 흐를수록 낮아지는 경향은 장시간 착용으로 인하여 렌즈의 함수율 유지가 어려워지는 것이 요인으로 사료되며, B렌즈가 렌즈착용 초기에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하이드로겔 보다 눈물막안정성 및 축안정성이 양호한 것은 표면에 습윤 처리와 축안정화 디자인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소재 프리즘밸러스트 디자인의 C렌즈의 경우 안정된 교정시력을 보여 주었으나 눈물막안정성 및 축안정성의 결과는 가장 불량하였다. 이는 실리콘하이드로 겔의 표면 처리 방법의 보완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axial rotation and NIBUT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which were three types of different materials and axial stability designs. Methods : The three types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hereinafter toric SCL) were worn on 19 subjects. One of them was double thin zone design lens (A-lens), the second was ASD lens (B-lens), and the third was prism ballast design lens (C-lens). Subjects were wearing the toric SCL to find out NIBUT for tear film stability and degree of the rotation for axial stability. Al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fter wearing SCL for two different wearing times such as 20 minutes (short time) and 8 hours (long time).
Results : The “A-len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moderate at the initial wearing, and excellent after long time wearing. The result of NIBUT showed that “B-lens” was the best in initial wearing(p<0.050), but after long time wearing it showed similar result to “A-lens” (p>0.050). The best axial stability was “A-lens” in the initial wearing(p<0.050). However, after wearing for long time, the “B-lens” was excell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0).
Conclusion : While the “A-lens” wa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t was worn for a long time, reducing tear film stability and surface wetting tendency. “B-lens” had better tear film stability and axial stability than the others in the early stage of lens wearing due to wet treatment on the surface and ASD design. In the "C-lens" with silicone hydrogel material,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good, but the tear film stability and axial stability the poorest. It is considered that the great improvement for a method of surface treatment of silicone hydrogel is necessar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사용 렌즈
    2. 연구 방법
    3. 통계 처리
Ⅲ. 결 과
Ⅳ. 고 찰
References
요 약
저자
  • Hyun-Joo Lee(대전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현주
  • Seung-Sun Baek(대전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백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