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섬진강산 누치 (Hemibarbus labeo)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연구 KCI 등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n Seomjin River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섬진강 수계에 서식하는 누치 (Hemibarbus labeo)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를 발굴하고 누치속 Hemibarbus 및 잉어과 (Cyprinidae) 내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굴된 577 bp COI 시컨스의 다중배열 결과 섬진강산 누치들의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99~100%).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누치속 3종에서 누치 (H. labeo: HD1)와 어름치 (H. mylodon)의 염기서열 유사성은 88.91%, 참마자 (H. longirostis)와는 88.81%이었 다. 또한, H. maculatus, H. meditus, H. umbrifer, H. barbus 는 각각 누치와의 염기서열 유사성이 98.97%, 97.20%, 96.87%, 98.85% 등으로 나타났다. 누치속 7종의 계통유전 학적 분석결과 섬진강산 누치 (H. labeo)들은 두개의 단계통 (clade)을 형성하는데 하나는 하동, 임실, 강진, 순창의 섬진강 누치들로만 이루어진 단계통, 다른 하나는 하동의 HD2, HD8, HD9와 국내 부산, 아산, 서울 등에서 채집 보고된 누치들과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잉어과 내 섬진강산 누치 (HD1)의 계통진화적 위치는 피라미 (Zacco platypus) 와는 진화적 거리가 0.143, 누치속 H. maculatus와는 0.006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잉어과 28종 내 계통유전학적 위치는 모래무지아과 (Gobioninae) 어류들이 포함된 그룹 I에 섬진 강산 누치가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누치를 포함하는 잉어과 내 어류의 계통유전학적 비교와 환경 오염에 따른 담수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모델어류의 발굴 연구에 주요한 유전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s a small freshwater fish species as semi-bottom dwellers distributed in eastern Asia. We carried out characterization of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from the mitochondrial DNA of H. labeo in the Sumjin River to identify the phylogenetic location of H. labeo in the genus Hemibarbus and Cyprinidae. Multiple alignment of the 577 bp COI sequence revealed high sequence homology (99~100%) between Seomjin River H. labeo. The nucleotide sequence similarity between H. labeo (HD1) and H. mylodon was 88.91% and that of H. longirostis was 88.81% among the three species found in Korea. In addition, the nucleotide sequence similarities of H. maculatus, H. meditus, H. umbrifer and H. barbus showed 98.97%, 97.20%, 96.87% and 98.85%,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on seven species of the genus Hemibarbus showed that the H. labeo collected in this study formed two clades. One of which consisted of Hadong, Imsil, Kangjin. The other one formed a step with HD2, HD8 and HD9 of Hadong and the H. labeo reported in Busan, Asan and Seoul, Korea.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H. labeo among Cyprinidae showed 0.143 for the evolutionary distance from Zacco platypus and 0.006 for the H. maculatus. In addition, the genetic position of the H. labeo among 28 species of Cyprinidae was found to be located in Group I, including Gobioninae fis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key genetic information for the taxonomic comparison in Cyprinidae and study of model fish for pollution monitoring in freshwater environment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실험 어류인 누치 채집
    2. Genomic DNA Extraction
    3. 누치 COI 유전자의 PCR 증폭 및 염기서열 확인
    4. 데이터 분석
결과 및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박기연(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Kiyun Park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완옥(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Wan-Ok Le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곽인실(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Ihn-Sil Kwak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Marine Technolo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