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중성 남세균, Wilmottia murrayi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의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newly recorded genus and species for aerial cyanobacteria Wilmottia murrayi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국내 금강수계의 하구역에 위치한 하제항 암벽으로부터 기중성 남세균이 채집되어, 단조류 배양되었다. 2개의 남세균 배양주로부터 형태적 형질과 TEM에 의한 세포 미세구조 특징을 관찰하였다. 또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규명하여 BLAST 검색, 염기서열 유사도, 유전거리 및 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배양주는 Wilmottia murrayi와 계통학적으로 동일한 clade를 형성하였고, 99%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TEM을 통한 세포 미세구조는 틸라코이드가 여러겹으로 세포막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Coleofasciculaceae과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W. murrayi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Two aerophytic cyanobacteria from the rockwall of Haje port located in Geum river, Korea, were isolated in unialgal cultures and submitted to polyphasic evaluation. The filaments of the populations presented solitary or several to many parallel arranged. The straight trichomes were not attenuated with rounded apical cell.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16S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se populations formed the same clade with Wilmottia murrayi and had 99% or greater DNA similarity. Through the ultrastructure of the TEM, these populations showed parietal thylakoid arrangement, which coincides with family Coleofasciculaceae. From the above results, we reported the newly recorded genus Wilmottia, and species W. murrayi in Kor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채집지 및 채집방법
    2. 실내배양
    3. 형태관찰
    4. DNA 추출
    5. 효소중합연쇄반응 (PCR) 및 DNA 시퀀싱
    6. 염기서열 유사도, 유전거리, 계통 분석
    7. TEM 미세구조
결과 및 고찰
    1. 형태적 특징
    2. 염기서열 특성 및 분자계통
    3. TEM의 ultrastructure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남주(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Nam-Ju Lee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onggi University)
  • 서요셉(상명대학교 생명공학과) | Yoseph Seo (Department of Bio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기장서(상명대학교 생명공학과) | Jang-Seu Ki (Department of Bio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옥민(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Ok-Min Lee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