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경지에서 무경운 및 녹비 투입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특성 KCI 등재

Effect of no-tillage and green manure practices on the nitrous oxide emission from crop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농경지는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인 N2O의 배출원이다. 따라서 농경지에서 N2O를 줄일 수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에 작물재배 시 무경운기술을 적용하고, 녹비작물로서 호밀과 헤어리배치를 각각 투입하여 N2O 배출량 비교 평가하였다. 재배 기간 중 토양에 질소원이 공급된 초기에 배출량이 높았으며, 토양온도는 20~25°C, 수분함량은 20~30% 범위에서 N2O 배출량이 높았다. 작물재배기간 동안 경운 유무와 투입된 질소원에 따른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농경지 토양에서 배출되는 N2O는 무경운을 통해 CF, HV 그리고 RY 처리구에서 각각 51.8%, 31.7% 그리고 59.6% 감축되었다. 또한 무경운 헤어리배치 (HV-NT) 처리구에서 관행 (CFCT) 처리구 대비 59.0% N2O 배출을 저감할 수 있었다. 헤어리배치를 투입함으로써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무경운을 통해 토양 교란을 방지하여 농경지 토양에서 배출되는 N2O를 저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감축기술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와 향후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검인증 방법을 포함한 방법론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후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인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농업농촌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저탄소농축산물 인증제 등과 연계하여 농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ropland is a major source of atmospheric nitrous oxide (N2O) and we need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agriculture that can reduce the presence of N2O. In this study, a field experiment encompassing six treatment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lux of N2O in cropland during the growing season. An experimental plot was composed of two main sectors, no-tillage (NT) and conventional tillage (CT), which were subdivided into three plots according to types of nitrogen (N) sources: CF, chemical fertilizer; HV, hairy vetch+chemical fertilizer; and RY, rye+chemical fertilizer. The cumulative N2O emissions were 179.8 mg N2O m-2 for CF-CT, 108.1 mg N2O m-2 for HV-CT, 303.5 mg N2O m-2 for RY-CT, 86.7 mg N2O m-2 for CF-NT, 73.8 mg N2O m-2 for HV-NT, and 122.7 mg N2O m-2 for RY-NT during the fallow season. The CT, HV, and RY of no-tilled soils were reduced by 51.8, 31.7 and 59.6%, respectively (p<0.001).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no-tillage and hairy vetch practice rather than conventional tillage and chemical fertilizer practice can decrease N2O emissi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 토양 및 위치
    2. 시험구 처리
    3. N2O 시료 채취 및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토양 수분함량 및 토양온도에 따른 N2O 배출특성
    2. N2O 시기별 배출특성
    3. 처리구별 N2O 배출특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선일(농촌진흥청 국 립농업과학원 기 후변화생태과) | Sun-Il Le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김건엽(농촌진흥청 국 립농업과학원 기 후변화생태과) | Gun-Yeob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이종식(농촌진흥청 국 립농업과학원 기 후변화생태과) | Jong-Sik Le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최은정(농촌진흥청 국 립농업과학원 기 후변화생태과) | Eun-Jung Cho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