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광역시 도심 근린공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구분포 및 물리적 환경과 이용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 Focusing on Population Distribu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Offer Attitude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도시공원은 도시민들의 삶의 활력소가 되어주는 주요 요소이다. 특히 도심공원은 시민들의 이용 시간이 가장 많은 여가 공간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대구 도심 근린공원의 인구분포 및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도심에 위치한 3개의 공원 이용자를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도심 근린공원의 조성 및 재정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문헌 및 인터넷 데이터 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공원 인근 행정 동별 노인 인구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감영공원의 노인계층 인구는 2018년에 2012년보다 7.4% 증가하였다. 물리적 환경과 내⋅외부는 인터넷과 현장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공원 외부 토지이용 중 거주용지 비율은 낮은 반면 상업용지 비율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감영공원 주변 500m 중심상업지역의 경우 9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내부의 녹지공간은 전체 공원 용지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시설도 다양하였다.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원 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8년 5월 16일과 5월 26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공원 이용자 중 이용 빈도가 주 1회인 비율은 41.9%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절반이상은 낮에 이용을 하며 계절에 상관없이 산책, 휴식, 비활동적 놀이 등의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원을 찾는 사람은 동반자와 같이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인구분포 및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 특성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도심 근린공원의 조성 및 재정비 시 고려해야 할 점은 도심 근린공원을 설계할 때는 주변 거주민을 중심으로 설계하지 않고 지역용도와 토지 이용 특성에 따라 설계해야 한다. 공원의 이용목적은 만남, 휴식으로 이용자에게 정자, 야외 평상 등을 설치하면 이용자를 더 편하게 교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Urban parks are the main factor that makes the life of cit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distribu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ark usage characteristics of three neighboring parks located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center, and to suggest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constructing and reorganizing neighborhood par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the elderly popul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s in each park increased. In particular, the elderly population Gyeongsang Gamyeong Park in 2018 increased to 7.4% since 2012.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nternal and external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net and field survey. As a result, while the ratio of residential land to land outside the park was low, the ratio of commercial land was considerably high. In particular, it was 94.4% in the commercial center area (500m) around Gyeongsanggang Park. On the other hand, the green space inside the park accounted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park area and the facilities also vari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ay 16, 2018 and May 26, 2018 for the park users. Furthermore, more than half of the users use the park for the purpose of walking (36.4%), resting (5.3%), and inactive play regardless of the season. However, 73.4% of the people who visited the park used it like a companion. Therefore, we shoul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us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urban neighborhood parks, we should consider the neighborhood residents as the igner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they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using the park is to make the users more comfortable by installing kiosks and designing and outdoor landscape for the users for meetings and resting.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3.2 인근 인구 및 물리적 환경 분석 방법
    3.3 도심 근린공원 이용 특성 분석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근린공원의 인구 분포 및 물리적 환경 특성
    4.2 공원 이용자의 특성
    4.3 개선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왕구월(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생태조경학전공) | Jiuyue Wang (Dep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 김수봉(계명대학교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Soobong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