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릉도 풍력자원평가를 위한 지상관측자료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Surface Observation Data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of Ulleung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4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급경사 복잡지형 산체인 울릉도는 국지기상 특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풍력자원평가에 사용되는 지상관측자료를 선택할 때 먼저 그 유효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종관기상자료인 재해석자료 또는 중규모 수치기상예측 자료와 지상관측자료의 상 관성 분석을 통하여 지상관측자료의 국지기상 대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형에 의한 유동장 변형을 정확하게 고려하기 위하여 전산 유동해석을 할 경우에, 종관기상자료를 축소화한 예측결과가 얼마나 지상관측자료와 일치하는지도 평가하였다. 이때 지형복잡지수를 이용하여 지형이 복잡해질수록 국소배치의 예측오차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울릉도의 지상관측자료는 현포리의 고공 기상탑 측정자 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국지기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산유동해석으로 지형효과를 반영하더라도 풍계효과는 반영하지 못함에 따라 지상관측자료에 의존한 풍력자원평가에 불확도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풍력발전 후보지에서 반드시 고공 기상탑 을 설치하고 IEC 61400-12를 준용한 측정을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Ulleungdo, which is a steep complex terrain island, has very strong local wind characteristics, the validity of surface observation data should be evaluated first when applying surface observation data to wind resource assessment. In this paper, the local meteorological representations of surface observation data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nalysis data or the mesoscale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results as synoptic meteorological input data versus the surface observation data in Ulleungdo. We also estimated how consistent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synoptic meteorological data are with the surface observation data when computational flow analysis is performed to account precisely for flow deformation caused by the topography. The prediction error of micrositing is confirmed to increase as the terrain becomes complex, which is expressed as terrain complexity indices. The surface observation data of Ulleungdo showed strong local wind characteristics, except the data of Hyunpori where a highrise meteorological tower was erected. Sinc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ould not simulate the wind system effect even if the terrain complexity is accurately considered, the uncertainty of wind resource assessment relying on surface observation data is deemed considerably large. Therefore, installing a high-rise meteorological tower in the candidate wind farm site is inevitable in accordance with the IEC 61400-12 guideline.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연구자료 및 방법
    III. 연구결과 및 토의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현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Kim Hyun-Goo 교신저자
  • 강용혁(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Kang Yong-Heack
  • 윤창열(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건훈(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Kim Keon-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