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파트 창호 시스템에 대한 강풍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 KCI 등재

Quantitative Assessment of Extreme Wind Risk for Window Systems Installed in Apartment Build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5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태풍 동반 강풍으로 발생한 피해를 예측하기 위하여 강풍 위험도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강풍 위험도 평가 모델은 강풍 위험 모델과 강풍 취약도 모델의 합성곱을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강풍 위험과 강풍 취약도 모델은 모두 확률기반의 몬테카를로 모사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강풍 위험도는 아파트에 설치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되었다. 강풍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역적 요인(부산, 대구, 대전, 서울), 지형적 요인(지형계수, 지표조도구분), 건물의 형태적 요인(건물 높이, 지붕 경사각, 주 호수)에 따라 강풍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개발된 위험도 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총 432개 강풍 위험도를 비교한 결과, 지표조도구분이 강풍 위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음으로 지형계수, 건물 높이, 평가 지역, 지붕 경사각, 주호 수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강풍 위험도 평가 모델은 창호 시스템의 경제적 가치와 결합하여 강풍으로 인한 손실 추정 및 피해 저감 대책 수립의 기본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the wind risk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extreme wind-induced damage. The wind risk model is established by the convolution of wind hazard and wind fragility model. The wind hazard and fragility model are estimated by apply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based on probabilistic model. The developed risk model is applied in order to quantitatively assess wind risk for window systems installed in apartment buildings.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wind risk, three factors are considered herein: location factors (i.e., Busan, Daegu, Daejeon and Seoul), geographical factors (i.e., topographic factor and exposure category) and building shape factors (i.e., building height, roof angle and unit per story). In this study, 432 models were estimated using the developed wind risk model. From the results, the exposure categories ar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wind risk, followed by topographic factor, building height, site, roof angle and unit per story. The developed wind risk model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ools to predict economic loss estimation and to establish wind risk mitigation plan.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2.1 강풍 위험도 모델
    2.2 강풍 위험 모델 개발 기법
    2.3 강풍 취약도 모델 개발 기법
III. 강풍 위험도 평가 모델
    3.1 강풍 위험 평가 모델
    3.2 강풍 취약도 평가 모델
IV. 강풍 위험도 평가
    4.1 지역적 요인에 따른 강풍 위험도 평가
    4.2 지형적 요인에 따른 강풍 위험도 평가
    4.3 건물의 형태적 요인에 따른 강풍 위험도 평가
    4.4 요인별 강풍 위험도 영향성 평가
V.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윤우석(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Yun Woo-Seok
  • 함희정(강원대학교 도시건축학부) | Ham Hee Jung 교신저자
  • 최승훈(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Choi Seung Hun
  • 이승수(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Lee Sungsu
  • 김호정(단국대학교 건축학과) | Kim Ho-Jeong
  • 김지영(대우건설 기술개발팀) | Kim J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