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아시아 평균 기상장 분석을 통한 화산재 확산 위험 지역 예측 및 기상장이 화산재 확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Predicting the Hazard Area of the Volcanic Ash based on Meteorological Fields and the Impact of Weather Pattern on Diffusional Pathway of Volcanic As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5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분석 자료(reanalysis data)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계절별 평균 기상장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주요 화산체 분화 시 화산재 확산에 따른 피해 위험 지역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FALL3D 모형으로 임의의 과거 6개월 간 가상의 백두산 분 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 결과를 모의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화산재 확산 패턴을 클러스터로 유형화하였다. 마찬가지로 FALL3D에 이용된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기상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상장 클러스터를 정의하였다. 화산재 클러스터와 기상장 클러스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화산 분화 당시의 기상장이 화산재 확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order to predict the hazard area of volcanic ash due to the eruption of major volcanoes located in the East Asian region, we analyzed seasonal mean meteorological fields in East Asia using reanalysis data. Moreover, a FALL3D model is integrated for the case of hypothetical Baekdu Mountain eruption in the arbitrarily chosen six months in the past. The simulated pathway of volcanic products is categorized based on cluster analysis. Similarly, the meteorological input data for FALL3D, which is the WRF output, is clustered. The clusters based on volcanic ash and meteorological variable are comparatively analyzed to confirm the critical role of meteorology for determining the pattern of diffusional pathway of volcanic ash.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분석 방법 및 자료
III. 결 과
    3.1 동아시아 주변 평균 기상장 분석
    3.2 화산재 확산 패턴과 기상장을 이용한 클러스터 분석
IV.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서정빈(울산과학기술원 대학원 도시환경공학부) | Seo Jeong Bin
  • 강사라(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Kang Sarah M. 교신저자
  • 김무찬(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 Kim Mu C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