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분화의 전조현상 및 일본 화산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인하여 화산재 확산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위협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국내에서도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화산재 확산에 대한 확률적 공간 분포 분석이 연구된 바가 있다. 본 논문의 part1이라 할 수 있는 ‘백두산과 아소산 화산재 대기 확산의 확률적 공간 분포 분석’에서는 백두산과 아소산 두 개의 화산에 대하여 FALL3D 수치해석을 수행 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대기 중 화산재 농도 및 퇴적 두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백두산과 아소산 외에도 국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총 5개의 화산에 대하여 해석기간 및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eruption precursors of Mt. Backdu and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Japanese volcanoes the threat of disasters caused by the spread of volcanic ash is continuously being raised.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have been developing and using volcanic ash countermeasures system in Korea.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probabilistic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volcanic ash diffusion has been studied. In the analysis of the probabilistic spatial distribution of atmospheric diffusion of Baekdusan and Asosan volcanic ash, which can be called part1 of this paper, numerical analysis of FALL3D is carried out for two volcanoes of Mt. Baektu and Mt,Aso. The results are used to estimate the atmospheric ash concentration and sedimentation thickness. In this paper, we extended the interpretation period and the analysis range for five volcanoes that could affec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