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Hall과 Jewson(2007)의 방법을 바탕으로, 한반도 근역을 대상으로 하여 태풍진로를 태풍 시뮬레이션에서 재현할 수 있는 경험적 태풍진로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진로모형은 표본추출길이 L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임의 지점에서 태풍의 이동은 반경 L안에 존재하는 과거 태풍이력 변위들의 평균변위와 어노말리의 1차 자기회귀모형을 통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영역의 남쪽 경계를 통해서 진입하는 태풍을 SB, 동쪽 경계를 통해서 진입하는 태풍은 EB, 서쪽 경계를 통해서 진입하는 태풍을 WB 태풍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풍진로모형에 의한 모의태풍진로와 기록된 과거 태풍진로의 공간 상관도는 SB에 대해서 모의태풍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0.92 근처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태풍진로모형이 매우 실제에 근사한 태풍의 진로를 모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e study we develop an empirical typhoon tracking model for around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ean and abnormalit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typhoon tracks proposed by Hall and Jewson. In this model, a typhoon movement at any point is determined by a lag-one autoregressive process of anomaly and a mean displacement of historical typhoon displacements in a circle having radius of L, a parameter of sampling length. This paper classifies typhoons into SB, EB and WB,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typhoons entering through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boundaries around Korean pninsula, responsively. In order to validate the realization perforamce of proposed method, a cell density correlation is introduced, in which estimate the spatial correlation of tracks between historical and simulated tracks. The results show that the cell density correlation for typhoons of SB converges to 0.92 as the number of simulated typhoons increases, which reflects the validity of the prese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