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고층 건축물의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의 검토 및 고찰 KCI 등재

Review on Human Comfort Criteria in Tall Build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7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이 검토되었다. 초고층 건축물의 진동에 대한 사용성 평가기준은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가속도 응답의 크기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물의 가속도의 응답의 크기를 산정함에 있어서 두 가지의 서로 다 른 척도, 즉 최대가속도 또는 RMS가속도를 각 기준에서 채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상이점을 토의하고 각 국의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에는 어떤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이 적합한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건축물의 각기 다른 응답을 조사하여 최대가속도와 RMS가속도와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각각에 대해 기술적인 논거를 기술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review on human comfort criteria in major codes and standards for tall buildings. In general, human comfort criteria of tall buildings have been used by magnitude of wind-induced acceleration response. Two different indexes in determination of the magnitude have been used: the peak value which occurs during a period of time and the rms value averaged over this same period. These distinctive acceleration indexes are discussed in detail and each criterium was reviewed and compared. The distinctions arisen because of the different wave forms, or acceleration signatures were addressed. It is described that which index of acceleration should be adopted in establishment of Korean human comfort criteria. In addition, some arguments from a technical standpoint that favor the use of each index are presented.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내용
II. 세계주요 진동사용성 평가기준
    2.1 ISO 6897
    2.2 일본기준(AIJES-V001-2004)
    2.3 캐나다 기준(NBCC-1995)
    2.4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의 비교
III.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의 가속도 척도
    3.1 수평진동의 특징
    3.2 가속도 척도
IV. 우리나라의 가속도 척도 설정기준
    4.1 정성적인 논거
    4.2 기술적인 논거
V.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조강표(원광대학교 건축학부) | Cho Kangpyo
  • 홍성일(원광대학교 공업기술개발연구소 연구원) | Hong Sung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