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교의 주경간장이 길어지면 교축직각 풍하중에 의해 현수교 보강거더의 횡방향 처짐이 크게 발생한다. 이 구조거동으로 각 행어로프의 보강거더 정착부에서 로프에 꺾임이 발생하고 이에 상응하는 응력이 로프에 발생하게 된다. 특히, 교량 중앙에 있는 짧은 행어로프의 응력이 크게 발생하여 유니버셜 죠인트 등의 고가의 특수장치를 부가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현수교 계획시 에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를 최소화 하여 행어로프의 꺽임량을 적게하면, 경제적이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현수교 행어로프의 계획을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그별 센터스테이의 형식을 달리하여 최적의 행어로프 계획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로 새그비가 작고 센트럴락이 설치되는 경우가 가장 합리적인 행어로프 계획임을 알수 있었다.
The longer main span length is relative to the transverse deflections from wind load in suspension bridge. This effect occurs a kink and high stress in girder anchorage of each hanger rope.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bridge maintenances are hard of the high cost equipments with special functions like as an universal joint. Therefore, at the planning stage of a suspension bridge, if the kink of hanger ropes will be reduced by the minimized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main cables and girders, the bridge shall be more economical and easier maintenance. The objection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optimized hanger rope set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center stays with different sag ratio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hanger rope with a small sag ratio and without a central lock is the most optimized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