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풍압적분법의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II - 공력진동실험 결과와의 비교 - KCI 등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for Pressure Integration Method - A Comparison with Results of Aerodynamic Model Tes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8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거동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구조체에 대한 풍하중의 설계는 매우 어렵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풍하중 산출방법은 풍동실험에 의존하고 있으며, 1차 탄성거동을 전제로 행해지고 있다. 가장 불리한 조건인 1차 모드로 가정하는 것은 다소 과대설계가 되어 안전하지만,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다차 모드 해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라 판단된다. 다차 모드를 고려한 풍하중의 산정은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을 응용하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며, 공력진동실험에 의한 풍응답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It is difficult to estimate wind loads for super tall building. Because, behaviors of super tall building under wind actions are very complicated. Presently, estimation of wind loads on super tall building mainly rely on the wind tunnel test, and it is based on responding elastically. If super tall building was assumed to behave first mode of vibration, it is safe because of over-estimation of wind loads but it is unreasonable in economic efficiency. To gain both the safety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super tall buildings, the wind loads on super tall buildings shall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to take into account dynamic behaviors of the multi-vibration modes. In this study, wind loads considered multi-vibration mode are analysed by using PIM(Pressure Integr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IM by comparisons of the results on PIM to those of aerodynamic model test.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풍동실험
    2.1 실험모형
    2.2 풍동기류
    2.3 실험데이터 측정방법
3. 이론적 배경
    3.1 층풍력의 산정방법
    3.2 변위의 산정방법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변동풍력의 파워스펙트럼밀도
    4.2 변위응답특성
5.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병조(금오공과대학교, 건축공학과) | Kim Byung-Jo
  • 하영철(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 Ha Young-Cheo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