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 운동 강도의 영향 KCI 등재

Evaluating Quadriceps Muscle Damage after Downhill Running of Different Intensities using Ultrasonogra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8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내리막 달리기(downhill running, DR) 후 초음파 영상분석을 이용해 대퇴사두근 무리 (quadriceps group, QG) 내 근손상의 국소화 여부를 검증하고, DR 동안 운동 강도가 운동유발성 근손상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및 근육 반향세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없는 건강한 남성 11명이 무작위 교차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 [low-intensity DR session(50%HRmax), LDR; high-intensity DR session(70%HRmax), HDR]의 DR 운동을 수행하였다. DR 후 EIMD의 심각성은 혈청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 활성 수준 변화와 함께 신경근 기능 지수로서 무릎 신전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및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변화를 통해 결정되었다. 회색조 분석을 적용한 근육 반향세 기 평가는 DR에 따른 QG 내 국소 근육별(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손상 양상을 탐지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모든 세션에서 혈청 CK 활성 수준과 VL 및 VM의 근통증 정도는 운동 후 24시간째(RF의 경우 각각 LDR 24시간째와 HDR 48시간째) 최대에 이르렀으며, 혈청 CK 수준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난 반면 근통증에서 세션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무릎 관절을 이용한 MVIC 및 ROM과 같은 신경근 기능 지표 및 VM을 제외한 모든 QG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직후 극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 후 72시간까지 점진적 회복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경근 기능 지표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RF 및 VL 반향세기에서 세션 내 및 세션 간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ECC를 함유한 DR 운동 시 운동 강도는 DOMS 및 신경근 기능 지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혈청 CK 수준과 함께 RF 및 VL의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강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결과는 DR동안 ECC를 겪는 QG 내 국소 근육 간 근손상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초음파 근육 반향세기가 국소 근육의 EIMD 심각성을 차별화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기법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gnitude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after downhill running (DR) of different intensities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muscle echo intensity as biomarkers to detect regional damage within quadriceps muscle group (QG) following DR. Healthy college-age men (n=11) were experienced twice DR sessions [50%HRmax DR, LDR; 70%HRmax DR, HDR] separated by a 2-week wash-out period with the random order. After DR, severity of EIMD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were determined by serum creatine kinase (CK) activity, muscle tenderness,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dicators such as a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range of motion (ROM). Transvaginal B-mode imaging had been employed to evaluate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within QG [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After both DR sessions, changes in serum CK activity and muscle tenderness have tended to more increase in HDR compared to those of LD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intensity during DR and the time course of serum CK activity(p<.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muscle tenderness. The time course of changes in the neuromuscular functions after DR were similar to those of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regardless exercise intensity. Although neuromuscular function showed to decline in HDR more than those of LDR after DR,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ssions and time course of changes in RF and VL muscle echo intensity(p<.01), but not shown in those of VI and V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muscles within the QG show different response profiles for EIMD during DR, exercise intensity influences on these responses as well. In particular, current findings suggested that muscle echo intensity derived from ultrasound imaging is capable of detecting regional muscle damage in QG following DR.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설계 및 절차
    2.3. 내리막 달리기
    2.4. 측정항목 및 평가방법
    2.5. 자료분석
3. 연구 결과
    3.1. Serum CK 활성도의 변화
    3.2. 근육 압통의 변화
    3.3. 신경근 기능의 변화
    3.4. 반향세기의 변화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선민규(경북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 Sun Min Ghyu (Sports Medicine Lab.,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춘섭(경북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 Kim Choun Sub (Sports Medicine Lab.,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맹규(경북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경북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 Kim Maeng Kyu (Sports Medicine Lab., Dept. of Physical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ports Science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