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공간의 관계: 시선추적기를 이용한 카페를 중심으로 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Using an Eye-tracker and Cafe Images to Ascerta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Spatial Depth and the Customer's Intention to Vis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1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현대사회에서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인 카페는 학업과 휴게 등에 중요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페를 방문 규모에 따른 공간적인 요구사항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좁은 카페의 경우, 더 넓고 높고 깊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파악하는 것은 이용자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의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의사의 관계를 시선추적기와 공간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구한 것이다. 56명의 실내디자인 학생들은 15개의 렌더링으로 개발된 이미지를 함께 비교하여 보며, 어떤 공간이 가장 깊어 보이는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또한 주어진 공간을 카페로 가정하여 1인 방문 시, 그리고 단체로 방문 시 각각 어느 공간에 머물고 싶은지 응답하였다.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의 시선은 시선추적기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의 결과, 동일한 규모의 공간일지라도 실내 및 가구요소에 따라 깊이감이 다르게 느껴짐을 보여준다. 어두운 벽에 작은 장식과 분리된 가구가 있는 공간이 밝은 톤의 벽에 큰 장식이 있거나 아예 장식이 없는 경우, 그리고 하나로 연결된 가구가 있는 공간보다 더 깊어 보인다고 인식되었다. 공간의 깊이 감은 1인 방문자에게 중요한 요소이나, 여럿이 방문한 경우에는 큰 고려 요소는 아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의 깊이감이 카페 방문객의 규모와 관련해 머물고 싶은 의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e café has become an important representative "third place" where people study and rest. Hence, it is worthwhile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s well as the requirements of people who visit such venues in groups. The identification of strategies that can help achieve larger, wider, higher, or deeper interior spaces in small and compact locations can generate benefits for both users and designers. In this study, where 56 interior design students participated, we used an eye-tracker and images of caf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depth and the intention to visit a cafe space. The researchers digitally developed fifteen different conditions of space and measured the eye movements of the participants using an eye-tracker when they examined images that appeared to convey the most depth.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imagine the proposed space images as cafes and to select one of the 15 images as the location that they would be most likely to visit individually and one that they would frequent in the company of other people.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certain ways of using interior design elements alter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spatial depth without any change being effected to the actual volume or the size of the space. The participants tended to perceive a space with a small decorative artwork on a dark toned wall with unconnected furniture as deeper than a space with no or large artwork on a light toned wall with contiguous furniture. Spatial depth was a more important consideration for an individual visit than for a group visit. The results of this exploratory study will help scholarly understanding of the role played by spatial depth in customer intentions to visit a cafe.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공간의 깊이감 인식
    2.2. 카페와 머물고 싶은 공간의 특성
    2.3. 시선추적을 이용한 공간의 시지각 연구
3. 연구의 방법
    3.1. 공간의 기본구성 및 실내공간 이미지 개발
    3.2. 시선추적
4. 연구의 결과
    4.1. 깊어 보이는 공간 선정과 이유
    4.2. 혼자 방문 시 머물고 싶은 공간과 선정 이유
    4.3. 2인 이상 방문 시 머물고 싶은 공간과 선정 이유
    4.4. 머물고 싶은 공간의 특성
5. 시선추적 분석
    5.1. 동공 크기, Dwell time, 응답과의 관계
    5.2. 시선의 응시 순서
    5.3. 깊이감 지각에 있어서 남녀 차이
    5.4. 깊어 보이는 공간과 머물고 싶은 공간의 관계
6. 결론
REFERENCES
저자
  • 조지영(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Ji Young Cho 교신저자
  • 곽은주(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Eun-Ju Kw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