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율주행차와 윤리적 의사결정: 누가 사는 것이 더 합당한가? KCI 등재

Who Should Live? Autonomous Vehicles and Moral Decision-Mak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1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반면, 기계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허용해야 할 것인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돌발상황의 발생시에 운전자와 보행자 중에서 누구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은 모두가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도덕적 원칙을 기반으로 일관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N = 103)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프로그래밍한다고 가정했을 때,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개인적/상황적 변인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적 변인으로서 참가자의 자율주행차의 자동화 기술에 대한 수용도를 측정한 후, 상황적 변인으로 문장완성과제를 통해 참가자에게 성취 또는 배려의 가치를 활성화시켰다. 이후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 및 자율주행차 구매의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에게 성취의 가치를 활성화시켰을 때, 자신이 차 안의 운전자로 가정된 상황에서 다수의 보행자를 배려하는 공리주의 의사결정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가자가 자율자동차 기술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공리주의 원칙으로 설계된 자율주행차의 구매의향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성취-운전자 조건에서 참가자의 구매의향이 다른 조건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율주행차의 사고상황에서 의사결정의 과정이 개인적 변인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활성화된 가치 및 관점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is a primary potential benefit of autonomous vehicles (AVs). However, the prevalence of AVs also arouses a key question: to what extent should a human wrest control back from AVs? Specifically, in an unavoidable situation of emergency, should an AV be able to decide between the safety of its own passengers and endangered pedestrians? Should AV programming include well-accepted decision rules about actionsto take in hypothetical situations? The current study (N = 103) examined individual/situational variables that could perform critical decision-making roles in AV related traffic accidents. The individual variable of attitudes toward AVs was assessed using the Self-driving Car Acceptance Scale. To investigate situational influences on decisional processe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achievement value was activated in one group and the benevolence value was triggered in the other through the use of a sentence completion task. Thereafter,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indicate who should be protected from injury: the passengers of the concerned AV, or endangered pedestrians.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record the extent to which they intended to buy an AV programmed to decide in favor of the greater good according to Utilitarian principl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articipants in the “achievement value: driver perspective” groupexpressed the lowest willingness to sacrifice themselves to save several pedestrians in an unavoidable traffic accident. This group of participants was also the most reluctant to buy an AV programmed with utilitarian rules,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acceptance of AVs and their expressed intention to purchase on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the decisional processes involved in the “achievement value” pertaining to AVs. The paper finally record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공리주의적 입장
    2.2. 윤리적 의사결정과 가치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참가자
    3.2. 연구도구 및 절차
    3.3. 연구 설계
    3.4.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조작점검
    4.2. 자율주행차 기술 수용도 비교
    4.3. 성취/배려의 가치와 운전자/관찰자 집단에 따른공리주의적 의사결정 비교
    4.4. 자율주행차 의사결정에 대한 도덕적 판단 비교
    4.5. 다수의 보행자를 우선시하는 공리주의 원칙의자율자동차 구매의향 비교
    4.6. 자율주행차 기술에 대한 수용도와 공리주의기반의 자율자동차 구매의향의 상관관계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신홍임(영남대학교 교양학부 교육중점) | Hong Im Shi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