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KCI 등재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0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 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 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Ⅰ, Ⅱ),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Ⅲ, Ⅳ, Ⅴ), 상록활엽수군락(군락 Ⅵ, Ⅶ)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 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Jeopdo (island) for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We installed and analyzed 52 plots with 100㎡ quadra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ased on TWINSPAN found seven categories of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surveyed region: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wii-Quercus variabilis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wii-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Actinodaphne lancifolia-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e vegetation in Jeopdo is largely composed of evergreen conifer trees community (communities Ⅰ and Ⅱ), Carpinus turczaninowii-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Quercus spp. community (communities Ⅲ, Ⅳ, and Ⅴ), and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munity (communities Ⅵ and Ⅶ). The evergreen conifer tree (Quercus serrata) community is currently competing with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he current state is expected to continue due to the lack of forces, such as Castanopsis siebold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in the succession middle stage and climax stage. The current state of Carpinus turczaninowii-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Quercus spp. community is expected to last for a long time due to slow vegetation development because of soil conditions.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munity is transforming from the initial stag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hrough the stage in Quercus serrata to Castanopsis siebold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The overall ages of the specimens were similar, and the oldest tree was the 59-year old Castanopsis sieboldii.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specie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Eurya japonica, Pinus densiflora and Fraxinus sieboldiana, and Actinodaphne lancifolia and Camellia japonica an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Carpinus turczaninowii and Carpinus turczaninowii and Eurya japonic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기후특성
    2. 식물군락구조
REFERENCES
저자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