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보구간의 환경요인 차이에 의한 깔따구의 군집 구성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of Chironomidae Caused by Variability of Environmental Factors among Weir Sections in Korean Riv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8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국내 하천에서 발생하는 준설 및 보 건설은 하천 연속성 차단과 교란을 유도하여 수서 생물서식환경에 변화를 가져 온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보 (이포보, IP; 세종보, SJ; 죽산보, JS; 강정고령보, GG; 달성보, DS)에 서식하는 깔따구 군집 분포를 조사하고 서식환경에 영향을 주는 여러 환경인자를 측정하였다. 조사 지역 중 IP, SJ은 다른 조사 지역에 비해 WT, pH, TOC, Chl-a가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깔따구 개체수 결과에서는 Chironominae, Orthocladinae, Tanypodinae 가 비교적 균등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JS, GG, DS는 Chironominae가 높은 비율로 우점하며, TOC와 Chl-a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조사 정점에 대한 깔따구 군집 조성의 특징과 환경요인을 반영한 집괴분석 결과 4대강 보는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정점별 환경 차이와 깔따구의 대악 및 하순기절의 구조에 따른 먹이원 선호도 차이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정점 간 먹이원의 차이에 의해 깔따구의 군집 구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향후 각 깔따구 과 별 주 먹이원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Artificial and natural changes such as weir construction and climate change often cause abnormal blooming of organism. Therefore, variations in species community of organism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to identify influential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fresh water ecosyst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ironomida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5 representative weirs (Ipo, IP; Sejong, SJ; Juksan, JS; Gangjeong-goryung, GG; and Dalsung weir) in 4 Korean major rivers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Chironomida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indicating organic matter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Chlorophyll-a, Chl-a) showed lower concentration in IP and SJ compared with other sites (JS, GG and DS). 3 sub-family 18 genus 25 species of Chironomidae community were found in this study. Among them, Chironominae was dominant in JS (Tanytarsus sp.1), GG (Polypedilum scalaenum) and DS (Polypedilum scalaenum), while different sub-family were dominant in IP (Orthcladinae, Tokunagayusurika akamushi) and SJ (Tanypodinae, Tanypus punctipennis). Moreover, based on the dominant species of Chironomida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luster analysis classified our study sites into 3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iet resour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ominance of Chironomidae in Korean rivers. We also suggest that further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diet resources for each Chironomidae specie is required for better understating of distribution in species community of Chironomidae at various ecosystem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조사 지역 및 조사 시기
    2. 시료 채집과 수환경 측정
    3. 생물지수 산출
    4. 통계 분석
결 과
    1. 환경요인
    2. 깔따구 군집 변화 및 생물지수
    3. 깔따구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 및 집괴분석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원석(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Won-Seok Kim (Department of Ocean Integrated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재원(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Jae-Won Park (Department of Ocean Integrated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홍철(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Cheol Hong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 최보형(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Bohyung Choi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호준(K-Water) | Ho-Joon Kim (K-Water Institute)
  • 박연정(K-Water) | Yeon- Jeong Park (K-Water Institute)
  • 박정호((주)케이에코) | Jung-Ho Park (K-ECO)
  • 송행섭((주)케이에코) | Haeng-Seop Song (K-ECO)
  • 곽인실(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Ihn-Sil Kwak (Department of Ocean Integrated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