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지표생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깔따구는 잡식, 초식, 육식성 등 종에 따라 다양한 섭식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잡식성으로 알려져 있는 삼지창무늬깔따구 (P. scalaenum)는 국내의 다양한 하천 생태계에서 우점하기 때문에 하천 생태계 내 먹이 사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이원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대강의 대표적인 보 (이포보, 세종보, 죽산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구간에 서식하는 삼지창무늬깔따구를 대상으로 소화관 내용물을 분석하여 먹이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포보에서 채집된 깔따구 소화관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사체 (부속지, 강모 등)가 다수 포함된 반면, 다른 4개보의 깔따구 소화관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깔따구의 소화관 내용물과 환경에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은 매우 유사하였으며, 정점 간 종 조성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삼지창무늬깔따구의 소화관 분석은 잡식성 깔따구의 섭식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깔따구의 소화관 내용물 분석을 통한 주변 수환경 내 기초생산자의 종 조성 파악 연구의 가능성을 보였다.
Chironomidae widely utilize as a biological indicator that has various types of feeding pattern such as omnivorous, herbivorous and carnivorous. Polypedilum scalaenum is known as omnivorou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od chain of freshwater ecosystems in Korea. Nevertheless, detailed information about diet items of P. scalaenum is still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ut and intestine contents of items on P. scalaenum inhabiting the large-scale weirs of the four major river ecosystems (Ipoh Weir, Sejong Weir, Juksan Weir, Gangjeong-Goryeong Weir, and Dalseong Weir). Phytoplankton was dominant diet items among the study sites. However, zooplankton (i.e. appendages, setae) only found in Ipoh Weir. The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sites was correspond to the diet items in the gut and intestine contents of P. scalaenum. In summary, analysis of P. scalaenum gut and intestine contents i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feeding characteristics of omnivorous Chironomidae, and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study the species composition of basic producers in the surrounding aquatic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igestive 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