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표면조도의 영역밀도가 경계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Area Density of Surface Roughness on Turbulent Boundary La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10
  • DOIhttps://doi.org/10.37109/weik.2020.24.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필로티는 현대건축에서 주차공간의 활용, 보행자의 통로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파트와 오피스텔과 같은 고층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축물의 필로티 형태 특성상 강풍이 불 때 바람이 집중되기 때문에 필로티 천장과 벽 면에 위치하고 있는 외장재 및 주골조가 파손되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외장재 및 주골조의 탈락으로 인해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는 고층건축물에 대한 천장 및 벽면의 풍압계수만을 제시할 뿐 필로티에 대한 기준이 명시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고층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필로티의 종류로서 관통형, 개방형 필로티를 선정하였고, 필로티의 폭과 깊이를 변수로 하여 풍동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변수에 따른 풍압계수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비교 및 분석하였고 본 논문의 실험결과를 통 하여 필로티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주골조 및 외장재 설계용 풍압계수를 제시하였다.

Piloti is widely used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the use of parking spaces and pedestrian passages. Due to the property of the piloti of such high-rise buildings, the wind is concentrated when the strong wind blows, so the cladding and main frame of the piloti ceiling and wall are easily damaged. And there is a risk of secondary damage due to the dropping of such cladding and the main frame. However, the Korea Building Code(KBC-2016) provide only wind pressure coefficients for ceilings and walls for high-rise buildings and do not specify criteria for piloti. In this paper, Penetration-type and All Open-type piloti were selected as the types of piloti used in high-rise buildings. Wind tunnel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width and depth of piloti as vari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were identified,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the wind pressure coefficient for the design of main frame and cladding which can be used for the design of piloti is presented.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실험조건 및 방법
    2.1 난류경계층 생성
    2.2 측정 장비 및 방법
III. 결과 및 토의
    3.1 평균 및 변동속도 분포
    3.2 Spatially averaged velocity
    3.2 Shear stress 및 조도부분층 높이
    3.3 왜도 & 첨도
    3.4 평균 표면압력 분포
IV. 결 론
References
저자
  • 임희창(부산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부) | Lim Hee-Chang
  • 박권호(부산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부) | Park Kwo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