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 of Father’s Communication on Game Immersion of Middle School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Game Use Characteristics KCI 등재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게임이용특성(평일게임시간, 게임연수, 게임지속시간)의 매개효과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청소년기는 생리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겪는 매우 불안정한 시기이다. 이때에 게임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교우관계를 돈독하게 해줄 수 있는 유용한 매체이다. 그러나 게임의 과도한 이용은 오히려 청소년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이용특성 중 시간, 기간, 지속정도가 어떠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로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게임이용특성을 매개하여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병렬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SPSS WIN 22.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4 매크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중학생 자녀의 평일게임시간과 게임지속시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 자녀의 평일게임시간, 게임연수, 게임지속시간은 게임 과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평일게임시간, 게임지속시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게임 과몰입을 낮추기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Adolescence is a period of very unstabl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hanges. At this time, games are a useful medium that can reduce teenagers' stress and strengthen their friendship. However, the excessive use of games rather devastates the lives of teenagers.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time, duration and duration of the game use characteristics played a role in the influence of open communication by father’s on games immersion of middle school children. In this study, the parallel effect was identifi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open communication on games immersion by mediating game use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he following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and Process Macro 3.4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open communication affected the games immersion of middle school children. Second, the open communication of the father affected the weekday game time and game duration time of middle school children. Third, weekday game time, game training and game duration time of middle school children affected games immers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open communication and games immersion among middle school children, weekday game time and game duration time had partial effect.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 in the family as well as personal efforts to reduce games immer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
    2.1 Research Method
    2.2 Research Tools
    2.3 Data analysis method
3. Research Results
    3.1 Basic Statistics
    3.2 Model Validation
4.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Sok Young HONG(Central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