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지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호흡에 따른 운동 인공물 감소를 위한 보조 고정 기구의 유용성 평가 KCI 등재

The Utilization of Immobilization Device to Reduce Motion Artifact Caused by Breathing in Upper Extremity M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0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호흡 운동으로 인한 상지의 운동 인공물을 억제하기 위해 고정 기구를 제작하고 사용 여부에 따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검사 방법은 검사 부위에 따른 운동 인공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지를 상완, 팔꿈치, 전완으로 구분하였다. 영상분석은 위상 부호화 방향의 배경영역에서 평균 신호 값 측정을 통해 운동 인공물의 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고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지 MRI 영상들을 획득한 검사 결과, 검사 부위에 따라 운동 인공물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팔꿈치에서 측정한 평균 신호들은 전완 부위와 비교하여 1.05~1.11배가 상승했지만, 특히 상완 부위에서 측정한 신호는 2.2~2.5배로 상당히 큰 증가를 했다. 또한, 고정 기구를 사용한 상태에서 획득한 영상의 평균 신호 값들은 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해 모든 부위에서 감소하였다(p<0.05). T1w에서 부위 별로 상완 62.68%, 팔꿈치 39.78%, 전완 47.03% 줄어들었고, T2w에서도 상완 58.22%, 팔꿈치 38.22%, 전완 46.49%로 각각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제작된 고정 기구의 사용은 상지의 모든 부위에서 운동 인공물이 억제되었다(특히 상완에서 58.22~62.68%). 상지 MRI 검사에서 고정 기구의 사용은 영상 변수조절 없이 호흡에 의한 운동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동 인공물과 관련된 재검사를 방지할 수 있어 수검자의 편의 및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reduce of motion artifact of the upper extremity caused by breathing by designing an immobilization device. The upper extrem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regions including upper arm, elbow, and forearm to observe the effect on the motion artifact. T1 and T2 weighted images(T1w, T2w) were analyzed through the mean signal intensity (MSI) Image analysis was achieved by measuring the average signal value in the background region in the phase code direction to evaluate the degree of motion artifact. In the result without using an immobilization device, the M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natomical regions(p<0.00). Especially, the MSI at the upper arm was increased by about 2.2~2.5 times compared to the forearm, while the elbow region was about 1.05~1.11 times that of the forearm.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immobilization device resulted in substantial reductions of the MSIs at all anatomical regions(p<0.05). The MSI at T1w exhibited 62.68% at the upper arm, 39.78% at the elbo), and 47.03% at the forearm. In addition, those of T2w led to decreases in 58.22% at the upper arm, 38.22% at the elbow, and 46.49% at the forearm. The application of immobilization device to the extremity examination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of the motion artifact, particularly at the upper arm with a decrease in 58.22%~62.68%.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mobilization device would be contributed to reducing the motion artifact,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RI scans and a more comfortable position for the patients taking an upper extremity MRI.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장비
    2. 검사 재료 및 방법
    3. 영상평가 및 분석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권순용(건국대학교병원) | Soon-yong Kwon (Department of Radiolog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 김상우(대원대학교) | Sangwoo Kim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aewon University College)
  • 김성호(대전보건대학교) | Seong-Ho Kim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강충환(건국대학교병원) | Chung-Hwan Kang (Department of Radiolog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Corresponding Author
  • 임재동(대원대학교) | Jae-Dong Rhim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aewon University College)
  • 김순배(건국대학교병원) | Soon-Bae Kim (Department of Radiolog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